‘인구대국’ 인도 주식시장 진출한 현대차 목표주가高高 …증권사 앞다퉈 30만원 이상↑

인도 4조 5000억원 규모 IPO 성공한 후 한국 주식 방향성 관심↑ 10월 말 이후 8000억원~1조원 수준의 자사주 매입 기대 주요 증권사, 현대차 목표주가 31만원~36만원으로 제시

2024-10-23     김민수 기자
22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의 인도증권거래소(NSE)에서 열린 인도법인의 현지 증시 상장 기념식에서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사진 왼쪽)이 인도증권거래소(NSE) 아쉬쉬 차우한 최고운영자(CEO)로부터 기념품을 받고 있는 모습. [현대차그룹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세계 최대 인구(14억명)를 보유한 인도 주식시장에 진출한 현대차가 향후 우수한 현금 창출능력을 바탕으로 한국 주식시장에서도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3일 현대차에 따르면 이번 인도법인 공모가는 희망 밴드의 최상단인 주당 1960루피(한화 약 3만2000원)로 책정됐다.

주식 배정 청약 마감 결과, 주식 수의 2.39배 청약이 몰렸으며 공모가 기준 현대차 인도법인의 전체 공모금액은 4조 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현대차는 인도 주식시장 사상 최대 규모 기업공개(IPO) 기록을 세우게 됐다. 기존 2022년 인도 생명보험공사(약  3조 4000억원)의 공모금액보다 1조원이 넘는 금액이다.

증권업계가 이번 현대차의 인도 주식시장 상장을 주목하는 이유는 인도의 자동차시장 규모가 중국, 미국에 이어 전 세계 3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996년 인도 시장에 진출한 현대차는 견고한 성장을 이어왔으며, 지난해 인도에서만 60만2111대를 판매하면서 연간 최다 기록도 수립했다.

올해는 9월까지 45만9411대를 판매하면서 마루타 스즈키(132만4405대)에 이어 시장 점유율 2위를 기록했다.

특히 현대차는 인도에 설립한 공장을 중동·아프리카로 진출하는 거점 기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중장기 전략을 세운 상태다.

현대차가 진행 중인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푸네 지역에 20만대 이상 규모의 신공장 프로젝트가 내년 하반기 완료되면 첸나이 공장(82만4000대)과 함께 100만대 생산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이에 대해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인도의 현재 자동차 보급률은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경제 발전에 따라 확대될 여지가 많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이번 인도법인 상장으로 당장의 현금 유입은 기대할 수 없겠지만, 향후 빠른 자금 확보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인도법인 상장 후 주식 매각대금 중 관련 비용과 제세금을 뺀 약 3조원 이상의 현금이 현대차로 유입되는데 이 중 일부가 자사주 매입·소각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며 “현대차 주가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BUY), 목표주가는 31만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올해 8월 말 현대차가 발표했던 주주환원 정책 중 하나인 ‘향후 3년간 4조원 규모의 자기주식 매입’ 계획이 2025년부터 실행된다는 점도 증권업계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다.

윤혁진 SK증권 연구원은 “내년 현대차는 총주주 환원율 35%를 달성하기 위해 1조원 이상의 자사주 매입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며 “자사주 매입 시작 전 공백기는 매수 적기로 목표주가 33만원을 제시한다”고 언급했다.

삼성증권의 경우 이번 인도법인 상장과 함께 안정적인 실적 창출을 근거로 현대차의 목표주가를 36만원으로 설정했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인도 IPO의 성공으로 10월 말 이후 8000억원에서 1조원 수준의 자사주 매입이 기대되면서 빠른 주가 회복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올해 3분기 실적 발표를 기점으로 글로벌 자동차 산업은 ‘승자’와 ‘패자’로 나뉠 전망”이라며 “이 중 승자 그룹에 속할 가능성이 큰 현대차에 대해 관심을 가질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현대차는 IPO 이후 인도법인 투명성을 더욱 강화하고 신제품 개발과 첨단 기술·R&D 역량에 적극 투자할 계획이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인도법인 현지 증시 상장 기념식에서 “인도가 곧 미래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인도에 지속해 투자를 늘리고 연구개발(R&D) 역량을 확장하면서 25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강조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