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 마곡 ‘통합관제센터’ 첫 공개...“자동화·지능화 네트워크로 최상 품질 제공”
면적 1410㎡ 규모…649인치 초대형 스크린으로 전국 네트워크 상황 한눈에 모니터링 신속 대응 위한 ‘지휘통제소(War Room)’도 갖춰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 LG유플러스가 AX(AI로의 전환)자동화·지능화 기반 네트워크 운용과 고객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자동화 운용 사례를 소개했다.
LG유플러스는 29일 오전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 마곡사옥에 위치한 '통합관제센터'를 언론에 최초로 공개했다.
LG사이언스파크 부속 유플러스 마곡사옥 1~2층에 1410㎡(약 427평) 규모의 ‘통합관제센터’는 올해 3월부터 가동됐다.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전국의 네트워크와 외부 서비스의 품질을 24시간 모니터링하며, 신속한 대응으로 고객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365일 근무하고 있는 ‘품질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맡고 있다.
네트워크·최고기술책임자(CTO)·사이버보안센터 등 서비스별 전문 대응력을 갖춘 임직원들이 근무중이다.
649인치 규모의 초대형 스크린(월보드)이 들어서 있는 상황실에는 전국에서 벌어지는 등급별 장애, 이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스크린에서는 LG유플러스의 유·무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자체 개발한 빅데이터 기반 감시시스템을 활용해 메신저, 동영상온라인서비스(OTT) 등 90여 종의 외부 서비스의 품질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네트워크 성능을 예측하고 최적화하는 ‘지능형 자동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잠재적 장애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해 문제를 미리 해결하고,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24시간 최상의 네트워크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RPA는 소프트웨어 로봇을 이용해 데이터 추출, 자료 작성 등 정형화된 단순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는 솔루션이다.
네트워크 관제 분야에서는 ▲태풍·지진 등 자연재해 대응 ▲불꽃축제·해돋이 등 연말연시 이벤트 대응 시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는데 RPA를 활용한다.
예를 들어 태풍이 동반한 많은 양의 비와 낙뢰로 이동통신 기지국이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지면, 전국/권역별 장비 피해현황을 RPA로 실시간 집계해 우선적으로 복구해야 할 순위를 정리해 빠른 의사결정을 도출하고 있다.
또 불꽃축제처럼 많은 인파가 몰리는 이벤트에서는 사전에 배치한 이동기지국과 주변 고정기지국의 트래픽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특정 기지국 장비에 트래픽이 집중돼 분산이 필요할 경우 RPA가 네트워크 운영 담당자들에게 상황을 자동으로 전파한다.
강봉수 LG유플러스 품질혁신센터장(상무)는 "통합관제센터는 네트워크 운영과 품질 관리의 핵심 거점으로, 고객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RPA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 도입을 통해 품질 관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고객의 기대를 넘는 최상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