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MS·엔비디아·TSMC와 AI 협력 더 끈끈히 이어간다...최태원 회장 "전 세계 최고 파트너들과 AI 병목현상 해결 앞장"
'SK AI 서밋 2024', 서울 코엑스서 4~5일 개최 SK그룹의 AI 전략 공개...계열사 CEO들도 참석 MS·엔비디아·TSMC CEO, 영상 대담·메시지 보내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SK그룹이 인공지능(AI) 난제 해결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 TSMC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의 협업을 더욱 공고히 한다.
반도체를 비롯해 데이터센터, 에너지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는 SK그룹은 파트너사들과 다양한 솔루션을 함께 풀어나가며 글로벌 AI 혁신을 가속화하고 국내외 AI 생태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SK는 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 'SK 서밋 2024'를 개최했다. 'SK 서밋 2024'SMS '함께하는 AI, 내일의 AI'를 주제로 5일까지 열린다.
이날 기조연설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맡았다.
최태원 회장은 SK가 보유한 AI 역량에 국내외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더해 글로벌 AI 혁신과 생태계 강화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한 SK의 AI 인프라를 통해 국내 AI 스타트업 성장과 생태계 구축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최 회장은 AI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해결해야 할 몇 가지 병목현상이 있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AI에 대한 투자를 회수할 '대표 사용 사례'와 수익 모델 부재, AI 가속기 및 반도체 공급 부족, 첨단 제조공정 설비 부족, AI 인프라 가동에 소요되는 에너지 공급 문제, 양질의 데이터 확보 문제 등을 거론했다.
최 회장은 "SK는 반도체부터 에너지, 데이터센터의 구축 운영과 서비스의 개발까지 가능한 전세계에서 흔치 않은 기업”이라며 “우리는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각 분야 세계 최고 파트너들과 협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SK와 파트너들의 다양한 설루션을 묶어 AI 보틀넥을 해결하고 좀 더 좋은 AI가 우리 생활에 빨리 올 수 있도록, 글로벌 AI 혁신을 가속화하는데 기여하겠다"며 "인터넷 시대의 진입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했던 한국이 AI 시대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려면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기조연설 중간 중간 SK그룹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글로벌 빅테크 수장 등 AI 업계의 스타급 인사들이 영상으로 등장해 대담을 하거나 축사를 전해 행사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최 회장은 이들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 모델 개발을 위해 SK그룹 내 AI TF 조직을 꾸려 진두지휘하고 있다.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마이크로소프트 CEO,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CEO, 웨이저자 TSMC CEO 그리고 컴퓨터 구조 및 설계분야의 최고 전문가인 데이비드 패터슨(David Patterson) 美 UC버클리대 교수 등이 AI 시대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밝혔다.
사전 녹화된 영상 메시지에서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회장 겸 CEO는 SK텔레콤과 마이크로소프트 간의 파트너십이 AI 시대에 가지는 중요성과 양사의 공동 성과에 대해 언급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과 전 세계에 강력한 AI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설립자 겸 CEO(최고경영자)는 데이비드 패터슨 교수와 ‘AI 반도체의 협력’을 주제로 특별 대담에 나섰다.
젠슨 황 CEO는 “AI로 인한 산업 혁명이 시작되면서 AI 분야의 엄청난 잠재력을 실감하고 있다"며 “엔비디아와 SK하이닉스의 파트너십은 AI 산업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AI와 인류의 미래를 함께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웨이저자 TSMC CEO는 전 세계 AI 리더들을 한자리에 모은 SK AI 서밋의 성공적인 개최를 축하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웨이저자 CEO는 “AI 생태계 전반에서 더욱 긴밀하고 견고한 협력을 통해 AI 미래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다”며 “AI 혁신을 가속화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확장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설루션을 함께 만들어 나가자”고 말했다.
그렉 브로크만(Greg Brockman) 오픈AI 회장 겸 사장은 ‘AI의 미래’를 주제로 직접 무대에 올라 라이브로 진행되는 현장 대담에 참석했다.
최태원 회장과 함께 SK그룹의 AI 사업을 이끄는 주요 계열사 CEO들도 무대에 올랐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이날 기조연설을 통해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 계획을 공개하고, SK와 국내외 파트너들이 협력하는 AI 인프라 기반의 생태계 조성 방안을 발표한다.
유 CEO는 오후 세션에서 스티븐 발라반(Stephen Balaban) 람다 CEO, 마크 아담스(Mark Adams) 펭귄 설루션즈 CEO, 오혜연 카이스트 교수와 함께 AI 인프라 협력 방안에 대한 패널 토의에도 참여한다.
곽노정 SK하이닉스 CEO는 '차세대 AI 메모리의 새로운 여정, 하드웨어를 넘어 일상으로'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AI 시대를 주도하기 위해 준비중인 제품과 기술을 소개하는 한편, ‘통합 AI 메모리 프로바이더’(Total AI Memory Provider)로서의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