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통신·AI 경쟁력 강화 '7대 사업부' 구축...조직 슬림화 '단행'
‘통신 본원적 경쟁력’과 ‘AI 실행력’ 강화 AI R&D 및 AT/DT 역량 결집...경쟁력 확보 과감한 세대교체 및 통신∙AI 기술 인재 중용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SK텔레콤이 통신 및 인공지능(AI)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전사 조직 단계는 신속하고 기민한 의사결정을 위해 축소했다.
SK텔레콤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한 2025년 조직 개편 및 임원인사를 단행했다고 5일 밝혔다.
먼저 SK텔레콤은 통신과 AI를 두 축으로 하는 7대 사업부 및 이를 지원하는 공유 인프라군과 스태프군으로 조직을 재편했다.
MNO사업부, B유선/미디어사업부, 엔터프라이즈사업부는 통신사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한다.
에이닷사업부, GPAA(글로벌 퍼스널 AI 에이전트) 사업부, AIX(인공지능 전환) 사업부, AI DC(데이터센터) 사업부는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를 창출을 돕는다.
B2B(기업용) 사업은 엔터프라이즈사업부, AIX사업부, AI DC사업부로 재편해 영역별로 전문화한다.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SK C&C의 시너지를 기반으로 사업 경쟁력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SK텔레콤은 산재된 기술 조직을 결집해 기술 경쟁력과 AI 전환 및 디지털 변환(AT/DT) 실행력을 강화한다.
AI R&D(연구개발) 센터는 AI 모델링, 비전 AI, 디지털 트윈 등 사업을 밀착 지원한다.
AT/DT센터는 SK텔레콤과 SK C&C 간 역량 결집을 통해 전사 AI 전환 및 디지털 변환 실행력을 강화한다.
또 전사 조직 단계는 4단계로 축소한다.
사업부 조직은 '본부', 스태프 등 지원 조직은 '실', R&D 조직은 '랩'으로 역할과 책임을 구분한다.
SKMS(SK경영관리시스템)실천실, O/I(운영개선)추진실, 고객가치혁신실,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추진실은 CEO 직속으로 편제해 주요 과제에 대한 추진력을 강화한다.
SK텔레콤은 이번 인사에서 3명을 신규 임원으로 선임했다.
신규 임원은 통신 및 AI 기술 경쟁력 강화와 사업/현장 중심 역량 결집을 실행할 수 있는 검증된 젊은 인재 위주로 선발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통해 SKT는 지속적인 기업 체질 개선을 진행하고 통신 사업의 내실을 다지며, AI사업의 가시적 성과를 만들어 내 글로벌 AI 컴퍼니 달성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