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신공항,  남부권 글로벌 물류거점으로 ‘육성’...6개 기관 업무협약

공항과 항만 연계...지역경제 활성화 위한 실질적 협력추진

2024-12-20     권일구 기자
사진은 디지털트윈 기업 이지스가 가덕도 활주로에 비행기가 뜨는 디지털트윈 시뮬레이션 [이지스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정부, 부산·울산·경남 지자체와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이 가덕도신공항의 성공적 건설·운영 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손을 맞잡았다.

공항과 항만을 연계해 남부권을 글로벌 물류거점으로 육성하고, 초광역 경제권 형성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기 위한 실질적 협력 방안을 담았다.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 부산시, 울산시, 경상남도 및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등 6개 기관은 20일 오후 부산에서 가덕도신공항의 성공과 공항·항만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을 본격화 하는 시점에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관점에서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발굴하는 등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들 기관은 가덕도신공항을 계기로 지역발전을 끌어 나가기 위해 신항만, 배후도시, 교통망 등과 유기적으로 연계 할 필요가 있다는데 뜻을 모았다.

신공항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기반으로 국제선 항공 네트워크 확충과 교통망 연계 등을 통해 신공항을 활성화 하고, 신공항-신항만 연계 물류산업을 적극 육성함으로써 가덕도신공항이 남부권 거점공항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협력키로 했다.

아울러 신공항의 파급효과가 배후도시 개발, 관광 산업 활성화 등 지역 인프라 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관 역량 을 하나로 집중 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신공항과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민간과의 소통과 협력이 필수요소인 만큼, 협약체결 기관을 포함해 30여개 유관기관 이 참여하는 ‘가덕도신공항 거버넌스 협의체(가칭)’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이 협의체는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운영하면서, 신공항의 파급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정책과 관련 사업을 발굴 하는 역할 을 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가덕도신공항 적기 개항을 위해 올해 사업성과를 바탕으로 내년에도 흔들림 없이 추진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내년에는 부지조성공사를 착공 할 계획이며, 지역 주민들이 빠르고 편리 하게 신공항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도로와 철도 사업도 설계에 착수 한다는 방침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가덕도신공항은 수도권과의 교통 격차 해소, 초광역권 구축, 국토 균형발전을 이끄는 핵심 과제인 만큼 최고 수준의 서비스 역량과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 하면서도 적기에 개항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 지방공항 전용 운수권 확대와 지역 거점항공사 육성지원 등을 통해 국제선 항공 네트워크 확충을 적극 지원 하겠다”라고 덧붙였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앞으로 신항만과 가덕도신공항이 성공적으로 개발되어 육·해·공 원스톱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항만과 공항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해양수산부도 협력 하겠다”라고 밝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