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삼성전자, 'S-AEC 통한 의료 방사선 최적화' 백서 발간
환자 체형에 따른 방사선량 자동 제어 방사선 노출에 대한 위험 낮춰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삼성서울병원과 삼성전자가 'S-AEC(오토 익스포저 컨트롤)를 통한 의료 방사선 최적화: 복부 영상 내 임상 적용'을 주제로 백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S-AEC는 삼성전자의 이동형 디지털 엑스레이 기기에서 선량 조절이 필요한 인체 영역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환자 체형에 최적화된 선량을 조사하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포터블 촬영에서도 균일한 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환자의 방사선량을 최소화해 안전성을 높였다. 방사선사는 환자 체형에 따라 선량을 조절할 필요없이 환자 촬영에만 집중할 수 있다.
이번 백서는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정명진 교수가 1저자로 참여한 가운데 삼성전자의 이동형 디지털 엑스레이 GM85를 활용해 421명의 환자 대상으로 전후 복부 방사선 검사를 진행한 결과를 담았다.
연구 결과 목표 방사선량을 각 5, 3.54 uGy로 설정한 S-AEC 사용군은 S-AEC 미사용군 대비 방사선 노출 지수(EI)의 산포가 각 60%, 55% 감소되어 영상 품질의 일관성이 향상됐다. 또 면적 선량(DAP) 은 목표 방사선량에 따라 각 27%, 44%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간, 신장, 장 등 장기별 적절한 시각화를 제공하는 등 영상 진단 화질이 유지됨을 확인했다.
특히 다양한 체형의 환자를 대상으로 S-AEC가 조건에 따라 방사선 조사량을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도 확인했다.
삼성전자가 선보인 S-AEC 기능은 고정형 디지털 엑스레이의 버키에 내장된 이온 챔버로만 사용 가능했던 AEC의 한계를 넘어 이동형 디지털 엑스레이 기기에서도 안정적으로 AEC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입원 병실, 중환자실 등에서도 AEC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동형 디지털 엑스레이 촬영에서 S-AEC 기능이 구현됨에 따라 우수한 영상 품질 제공에서 나아가 환자의 방사선량을 최소화해 안정성을 강화했다"며 "이를 통해 환자 방사선량 관리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발간된 백서는 지난해 북미 영상의학회(RSNA2024)에서 발표된 흉부 영상 연구의 후속 연구의 일환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