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배터리 2025] LG에너지솔루션, '토탈 솔루션 프로바이더' 역량 제시
차별화된 배터리 솔루션 선봬…차량부터 로봇까지 '배터리 토탈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도약 가속화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 최대 배터리 산업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의 혁신 기술을 공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전시공간은 참가업체 중 최대 규모인 총 540㎡(60개 부스) 규모다.
Hero 배터리 솔루션 존, EV(전기차) 배터리 솔루션 존, Non-EV 배터리 솔루션 존, 미래준비 존, 지속가능성 존 등 5개 주요 존으로 구성돼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소개했다.
LG에너지솔루션 부스 중앙에는 Hero 배터리 솔루션 존에서는 ‘인터배터리 어워즈’ 수상작 ‘원통형 46시리즈 배터리와 CAS(Cell Array Structure)’기술이 위치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원통형 46시리즈 배터리는 주행거리, 충전속도, 안전성 등 배터리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모든 요소에서 진일보한 제품이다.
기존 2170 배터리보다 최소 5배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적용해 에너지 효율성 또한 대폭 높였으며 고효율의 ‘Directional Venting(환기 방향 제어)’ 기술을 통해 안전성 또한 한층 개선했다.
‘CAS(Cell Array Structure)’ 기술은 46시리즈 배터리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안전성을 강화하는 선구적인 배터리 팩 솔루션이다.
고도화된 냉각 효율과 열 폭주 방지 성능을 가지며 구조 강성을 강화하고 팩·모듈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을 방지한다.
셀을 수직 또는 수평 모든 방향으로 유연하게 적층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 팩 설계도 가능하다.
파우치형 LFP CTP(셀투팩) 셀 유닛과 HV(High-Voltage) Mid-Ni(미드니켈) 배터리도 전시된다.
CTP는 기존 Module-to-Pack(MTP) 방식과 비교했을 때 부품 수를 감소시켜 공정을 간소화하고 팩 단위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V Mid-Ni 셀은 기존 배터리보다 전압 범위를 4.4V까지 확대해 에너지를 높이고 단가를 낮춘 제품으로 에너지밀도와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제품이다.
EV 배터리 솔루션 존에서는 앱테라 모터스의 태양광 3륜 차량과 포르쉐 타이칸 터보 모델이 공개됐다. 두 모델 모두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탑재된다.
Non-EV 배터리 솔루션 존에서는 로봇, 선박, UAM, 인공위성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소개하고 오는 4월 양산을 앞둔 ESS(에너지저장장치)에 들어가는 2세대 JF2 셀이 장착된 전력망용 시스템 JF2 DC-Link 등 다양한 볼거리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래준비 존에서는 배터리 제조에 더해서 차세대 전지 등 다양한 미래 기술을 소개했다. 이번 인터배터리 어워즈 수상작 중 하나인 비라이프케어(B-lifecare)도 만나볼 수 있다.
지속가능성 존에서는 배터리 순환 생태계를 비롯해 100% 리사이클링으로 만든 코발트 양극재와 폐분리막을 활용해 소형 크로스백과 파우치 등을 만든 Re-All(리얼) 캠페인 제품을 선보이며 LG에너지솔루션이 지속적으로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도 소개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의 도전과 혁신을 바탕으로 최고의 배터리 기술을 선보였다”며 “고객 가치 실현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앞으로도 업계의 기대를 뛰어넘는 기술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