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AI 사업 고도화로 수익 창출...AI DC 경쟁력 높인다”

SK텔레콤, 을지로 본사서 41기 주주총회 개최 유 대표 "통신 사업 운영 개선 고도화 적극 추진" 성과 창출 위한 AI피라미드 2.0 전략 가속화

2025-03-26     황재희 기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26일 서울 을지로 본사 T타워에서 열린 제 41기 주주총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SKT]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AI(인공지능)사업 고도화를 통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고 주주가치와 기업가치를 극대화할 것

유영상 SK텔레콤(SKT)대표가 26일 서울 을지로 본사 T타워에서 열린 제 41기 주주총회(주총)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번 주총에서 유 대표는 지난해 재무 실적과 사업 성과를 주주들과 공유하고 AI 피라미드2.0 전략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SKT는 올해 통신 사업 전체 포트폴리오 관점의 운영 최적화에 나선다. 결합상품, 가족로밍과 같은 대표 상품을 지속 발굴해 본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O/I(운영 개선) 고도화에 힘써 수익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유 대표는 이날 AI피라미드 2.0 전략도 소개했다.기존의 AI 피라미드 전략에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실질적인 AI 성과 창출에 최적화된 개념이다.

먼저 AI DC(데이터센터) 영역에서는▲구독형 AI 클라우드 GPU(GPUaaS)서비스 ▲소규모 모듈러 AI DC ▲단일 고객 전용 AI DC ▲하이퍼스케일급 AI DC 등 총 4대 사업 모델로 세분화해 시장 공략에 나선다.

특히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엔비디아의 차세대 AI가속기인 블랙웰을 올 3분기내 도입할수 있도록  검토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SKT는 GPU 서비스에 엔비디아의 H100을 사용한다. H100 다음 버전은 H200이지만 기업의 높은 수요에 대응하고 수주 경쟁력을 위해 효율이 더 높은 블랙웰로 선회했다. 

AI B2B(기업간거래)영역에서는 엔터프라이즈AI와 두 자릿수 성장을 목표로 하는 AI클라우드에 이어 올해 출시가 예정된 AI B2B 에이전트인 ‘에이닷 비즈’를 통해 수익화를 추진한다.

SKT는 AI 에이전트 ‘에이닷'을 통해 AI B2C서비스 영역에선 성과를 내고 있단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에이닷의 가입자는 890만명에 달한다. 연내 미국 출시를 준비 중인 완결형 글로벌 AI 에이전트 ‘에스터’도 글로벌 통신사들과 협력해 서비스를 확장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날 SKT는 주총에서 ▲2024년 재무제표 승인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총 2명의 이사 선임 등의 안건을 승인했다.

김창보 신임 사외이사는 2000년도부터 법조인으로 쌓아온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사회 의사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직무를 수행할 예정이다.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된 강동수 SK㈜ PM부문장은 통신, AI 사업 영역에서 회사가 지속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해 나가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KT는 투자자들이 배당금을 확인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주주친화적으로 정관을 변경했다. 새로운 정관은 26일부터 적용된다. 이에 따라 SKT는 이사회 결의를 통해 분기 말일로부터 45일 이내 배당기준일과 배당금을 정하고 2주 전에 공고하게 된다.

한편 주당 배당금은 전년과 동일하게 연간 3540원으로 확정됐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