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호관세·尹 탄핵 선고 임박···불확실성 증폭, 숨죽인 주식시장
상호관세 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발표, 즉시 효력 20% 단일관세·국가별 개별관세 방안 거론 속 트럼프 최종 결정 주목 철강·車관세 이어 상호관세 파고까지…'리더십 부재' 韓 대응 비상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하루 앞으로 다가온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발표와 함께 4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등으로 주식시장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오후(현지시간·한국시간 3일 오전) 이른바 '상호관세'를 발표하면 즉각 시행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그동안 중국, 캐나다, 멕시코와 같은 일부 국가, 철강·알루미늄을 비롯한 일부 제품을 대상으로 전개됐던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이 글로벌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중국 등이 이미 보복 조치에 나선 데 이어 유럽연합(EU) 등 다른 나라도 맞대응을 예고하고 나서면서 자유무역을 기반으로 했던 글로벌 통상 질서가 급변할 것으로도 보인다.
특히 수출 중심의 경제체제인 한국은 대(對)미국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에 대한 관세,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이어 상호관세 파고까지 덮치면서 비상사태를 맞게 됐다.
국가의 리더십이 공백인 상황에서 미국의 상호관세로 인해 한미자유무역협정(FTA)까지 사실상 무효가 되면서 미국과의 새로운 통상 규칙을 수립하는 동시에, 전 세계 주요 국가의 보호무역적 흐름에도 대응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는 점에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칭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불러온 2일 오후 4시(한국시간 오전 5시)에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직접 상호관세에 대해 발표한다.
상호관세는 다른 나라가 미국에 대해 부과하는 관세와 비관세 장벽에 대응해 그만큼 미국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개념이다.
이와 관련, 백악관은 모든 수입품에 대해 20%의 단일 관세율을 부과하는 방안, 국가별로 개별적 관세율을 적용하는 방안 등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일관세율은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대선 때 공약했던 이른바 보편관세와 같은 개념이다.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1일 낮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통상·관세팀은 그것을 완벽하게 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특히 상호관세는 발표 즉시 효력을 갖게 된다는 것이 백악관 설명이다.
이의 영향으로 주식시장의 미 나스닥지수의 상승반전에도 불구하고 전날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하락세로 반전, 다시 2500선을 위협받고 있다. 자동차 등에 대한 외국인의 매도 공세가 하락의 주요인이다.
여기에 4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가 나오는 것도 투자자들의 관망세를 이어가게 하고 있다. 탄핵 기각이나 각하의 결과가 나올 경우 가뜩이나 불안한 경제상황에 극심한 혼란이 야기돼 주식시장도 뒤흔들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증권사 한 관계자는 “미국의 상호관세 내용이 발표되고 윤 대통령에 대한 선고가 나와 방향성이 잡일 때까지 증시 변동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