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 5조원 육박…7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세 기록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 주택 거래 증가 영향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앞두고 긴장감 고조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4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5조원에 가까운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진정될 가능성이 높지만, 주택 거래와 시차 등을 고려해 5월까지는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14일 한국은행은 ‘금융시장 동향’을 통해 4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3월 말보다 4조 8000억원 많은 1150조 1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증가 폭이 3월(+1조 6000억원)보다 3조 2000억원 많고, 지난해 9월(+5조 600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였다.
전세자금 대출 등 주택담보대출(913조 9000억원)이 3조 7000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5조 3000억원)이 1조원 증가했다.
박민철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2~3월 주택 거래가 늘어난 영향이 4월부터 주택담보대출에 본격적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1분기 상여금 유입 효과 등이 없어지면서 신용대출도 늘어 전체 가계대출이 4월 상당 폭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3월 주택 거래가 많았기 때문에 2~3개월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에 반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5월 가계대출에 많이 반영될 것”이라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을 앞두고 선수요가 발생할 가능성도 살펴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한국은행은 장기적 관점에서 3월 하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재시행되면서 서울 주택시장이 다소 진정된 만큼 가계대출도 시차를 두고 점차 진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는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4월 5조 3000억원 증가했다. 3월 증가 폭(7000억원)의 7배가 넘는 규모다.
은행(+4조 8000억원)이 증가를 주도했고, 전월 9000억원 감소했던 2금융권에서도 5000억원 불었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사이 4조 8000억원 증가했다. 3월(+3조 7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늘었고, 신용대출은 1조 2000억원 많아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리 인하 기대, 5월 가정의 달 수요,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월·분기·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 강화를 비롯해 가계부채 관리 조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4월 은행의 기업 대출은 14조 4000억원(잔액 1338조 7000억원) 증가했다. 3월에는 2조 1000억원 감소했지만, 다시 상승 전환했다.
2020년 4월(+27조 9000억원) 이후 5년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6조 7000억원, 7조 6000억원 불었다.
박 차장은 “1분기 말 자본 비율 관리를 위해 기업 대출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던 은행들이 다시 기업 대출을 재개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여기에 추가로 미국 관세정책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특수은행 중심으로 금융지원책으로 정책성 자금이 지원된 점이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4월 수신(예금)은 예금은행에서 25조 9000억원(잔액 2412조 5000억원) 빠져나갔다.
수시입출식예금의 경우 부가세 납부와 배당금 지급을 위한 기업 자금 유출, 지방자치단체의 인출 등으로 36조 8000억원 줄었다.
또 정기예금은 배당금 지급 등에 따른 기업 예금 감소가 겹치면서 5000억원 증가했다.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머니마켓펀드(MMF·+24조 1000억원)를 중심으로 38조 5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