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선] ‘당선 확실’시 국가원수급 경호 돌입…취임 행사는 4일 예정
최종 개표 마무리 전에도 선거 방송 내용 토대로 경호 ‘스타트’ 尹 대통령 파면에 따른 보궐 선거인만큼 곧바로 임기 시작 전례에 따라 대통령 취임 행사는 국회에서 열릴 가능성 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제21대 대통령선거 투표가 마무리된 가운데 선거 개표가 끝나기 전에라도 각종 방송에서 ‘당선 확실’ 문구가 뜰 경우 해당 후보는 즉각 국가원수급 경호를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3일 대통령경호처에 따르면 주요 방송사의 개표 방송에서 ‘당선 확실’이라는 문구가 뜰 경우 곧바로 해당 후보에 대한 국가원수급 경호 업무를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대선의 경우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당선인을 확정짓기 전까지는 ‘대통령 당선인’이라는 직위를 갖게 되지만, 이번 대선은 다르다.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으로 인한 보궐 선거이기 때문에 선관위의 발표 직후 곧바로 대통령 임기를 시작하게 된다.
본격적인 새 정부 출범을 선포하는 대통령 취임 행사는 대선 다음날(4일) 국회에서 열릴 가능성이 높다.
국회 등에 따르면 정부는 과거 사례에를 참고해 국회 내 대통령 취임 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취임식 행사는 취임 선서 위주로 간소하게 치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보신각 타종 행사, 군악·의장대 행진, 예포 발사 등 축하 행사는 생략될 가능성이 높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에 따라 이번 대선과 비슷한 과정을 거쳐 지난 2017년 5월 취임한 문재인 전(前) 대통령은 대선 다음날(5월 10일) 국회 로텐더홀에서 주요 인사 약 300명만 참석한 가운데 취임 선서를 한 바 있다.
문 전 대통령은 개식 선언을 비롯해 국민의례, 취임 선서, 국민께 드리는 말씀 순으로 행사를 진행했다. 행사 명칭은 ‘취임식’이 아닌 ‘취임선서식’이었다.
이에 따라 제21대 대선으로 선출된 대통령도 문 전 대통령의 전례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행사 일정이나 장소는 아직 공식 발표되지 않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대통령 당선인이 확정되는 대로 세부적인 취임 행사 준비 사항을 보고·확정할 계획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