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철강업계, "관세 50% 위기 극복하겠다"...26회 철의 날 기념식서 결의 다져
장인화 포스코 회장 "생존과 성장 고민해야 하는 상황" 정부와 유기적 협력 중요...고부가 소재로 해답 찾아야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정부와 철강업계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품목 관세 50% 인상 등 전례 없는 위기에 맞서 함께 어려움을 극복하겠다고 결의를 다졌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철강협회는 제 26회 '철의 날'을 기념해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행사에서 이같은 내용을 다짐했다.
이날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철강은 '산업의 쌀'이며 국가 안보를 좌지우지하는 핵심 산업"이라고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글로벌 공급 과잉이 지속되고 있으며 수출장벽은 전례 없는 수준으로 높아졌다"고 위기를 진단했다.
이어 안 장관은 "미국의 철강 관세 50% 등 현안에 총력 대응하고 불공정 수입재 방어와 중장기 경쟁력 강화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현장에 모인 철강업계 관계자 300여명 역시 그 어느때보다 철강 산업이 위기에 처해 있다는 점과 위기 극복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는데 깊이 공감했다.
한국철강협회장이기도 한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최근 트럼프 2기 시대로 심화한 불확실성 확대와 지속되는 글로벌 공급 과잉,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요구가 있다"며 "철강업계는 오늘의 생존과 앞으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장 회장은 "철강업계는 수요 업계, 정부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국내 산업 생태계를 강건화해야 한다"면서 "또 급변하는 통상 환경에도 선제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된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올해는 특히 글로벌 철강 수요 침체와 관세 리스크 등으로 업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나섰다.
안 장관은 "철강 산업이 통상장벽으로 인해 수출 물량을 확보하기 쉽지 않다면 미래 신산업을 뒷받침하기 위한 고부가 소재 공략으로 해답을 찾아야 한다"며 "한국형 수소환원제철이 상용화할 경우 기술과 설비 수출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지원책 중 하나로 안 장관은 이날 수소환제철 실증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빠르게 마무리한 뒤 본격 지원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올 3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철강·알루미늄에 25% 품목 관세를 부과한 이후 철강 산업 지원을 위한 통상리스크 및 불공정 수입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이의 일환으로 수입 철강에 대한 품질증명서(MTC) 확인, 우회덤핑 대응 강화 등의 후속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 수소환원제철 등 저탄소 공정 전환 지원, 저탄소 철강재 시장 창출 등 탈탄소 미래 준비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중단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브릿지 기술을 지원하고 저탄소 철강재의 시장 창출 또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저탄소 철강 기준을 마련하고 인센티브 제도를 설계하는 등 수요를 이끌어낼 제도도 검토할 계획이다.
철의 날은 1973년 6월 9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용광로에서 첫 쇳물이 생산된 날을 기념해 지정된 날이다.정부와 철강협회는 2000년 이후 매년 철의 날 기념식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올해 철의 날 기념행사에서는 철강 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32명에 대한 정부 포상도 진행됐다.
은탑산업훈장은 고부가·친환경 컬러강판 개발 및 수출 확대에 기여한 박상훈 동국씨엠 대표이사, 동탑산업훈장은 자동차용 도금강판 품질 및 생산성 향상 공정 기술 개발에 기여한 손병근 포스코 명장에게 각각 돌아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