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명 늘었지만 건강수명 제자리...정부 '노쇠 예방사업' 추진한다
질병청, 제9차 '건강한 사회 포럼'...폭증하는 노인진료비 대책 등 마련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증가 속도에 비해 건강수명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대수명은 83.6세지만, 건강수명은 70.5세로 13.1세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 건강수명은 기대수명에서 질병 또는 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을 의미한다.
게다가 노인 인구수 보다 노인 진료비 증가가 더 가팔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질병관리청은 11일 ‘초고령사회 건강 노화를 위한 노쇠 예방의 필요성과 질병관리청의 역할’을 주제로 연 제9차 건강한 사회 포럼을 열고 건강한 노화를 위한 노쇠 예방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질병청이 2023년 건강보험통계연보를 재구성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진료비 증가세는 고령화보다 가파르다.
2019∼2023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746만3000명에서 921만6000명으로 23.5% 증가했는데 노인진료비는 35조7925억원에서 48조9011억원으로 36.6%나 늘었다.
이날 포럼의 주제발표를 맡은 박광숙 질병청 노쇠기획팀장은 “현재 치매나 만성질환 등 질병과 그에 대한 돌봄 위주로 노인 건강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이나 사업 추진 역량이 부족한 상황이다”라며 “향후 노인 건강 정책을 건강한 노화를 위한 포괄 건강관리체계로 전환하고,노인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비용 절감을 위해 국가 단위로 통합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질병청은 노인이 돌봄이 필요해지기 전에 스스로 건강 기능을 유지하고, 일상생활을 혼자서 영위하게 하기 위한 노쇠 예방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2023년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의 4.6%가 돌봄이 필요한 노쇠 상태이고, 32.2%는 그 앞 단계인 전(前) 노쇠 상태다.
이에 따라 질병청은 도시·도농 복합·농어촌 지역으로 대상 지역을 나누고, 고령화와 인구 감소 등 고려해 선정한 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2026∼2027년 노쇠 예방 시범사업을 할 계획이다.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지자체에서는 20개 지역 단위로 경로당, 노인복지시설 등 활용해 사업프로그램 적용한다. 시범사업이 끝나면 2028년부터는 지자체가 사업을 주도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질병청은 또 지역별 노쇠 현황 파악 등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해 매년 실시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노쇠 관련 문항도 추가한다. 지난 한 달간 피곤하다고 느낀 적이 있는지, 도움이 없이 혼자서 쉬지 않고 계단 10개를 오르거나 300m를 혼자 이동하는 데 힘이 드는지 등을 질문한다는 것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초고령사회에 대응해 노인의 건강수명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며 “건강한 노화 분위기 조성을 위해 지역사회와 지속해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