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10곳 중 4곳 “하반기 수출 이익 감소할 것”…美 관세·경기침체 영향
【뉴스퀘스트=김어진 기자】 대기업 10곳 중 4곳은 올해 하반기 수출로 벌어들이는 이익이 작년 동기와 비교해 줄어들 것으로 전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시장조사 전문 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10대 수출 주력업종의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수출 전망 조사’를 한 결과, 응답기업의 38.7%가 지난해보다 수출 채산성(수출로 버는 이익의 수준)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11일 밝혔다.
수출 채산성이 개선되리라는 응답은 14%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47.3%는 작년 하반기와 비슷할 것으로 보았다.
업종별로 보면 자동차 부품(66.7%), 자동차(53.8%), 일반기계(50%), 석유화학(44%), 철강(40.6%) 등 7개 업종에서 채산성 ‘악화’ 응답 비중이 ‘개선’보다 높았다.
반도체(10%)와 선박(25%) 2개 업종만 ‘개선’ 응답 비중이 더 높았다. 전자부품(25%)은 ‘개선’과 ‘악화’ 응답 비율이 같았다.
채산성 악화 원인으로는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 증가(44.8%), 수출 경쟁 심화로 인한 수출단가 인하(34.5%), 인건비 등 운영비용 증가(13.8%) 등을 꼽았다.
특히 수출기업의 53.5%는 하반기 최대 수출 리스크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을 지목했다. 글로벌 저성장에 따른 수요 침체(14%)와 미국·중국 통상 갈등 심화(12.7%)가 뒤를 이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과 관련해 응답 기업의 92%는 미국의 관세 인상률이 15%를 넘으면 감내하기 힘들 것이라는 답변도 내놨다.
기업들은 관세정책 대응 방안으로 원가절감(33.7%), 수출단가 조정(33.2%), 해외 현지생산 확대(14.7%) 등을 꼽았다. 특별한 대응 방안이 없다는 응답도 14.2%에 달했다.
통상환경 불확실성과 경기 부진 등으로 올해 하반기 국내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평균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철강(-5%), 선박(-2.5%) 등 6개 업종은 하반기 수출이 감소할 전망이다.
반면 바이오헬스(1.6%)와 전자부품(1.3%), 자동차 부품(0.8%), 컴퓨터(0.4%) 등 4개 업종은 하반기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기업들은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통상협정을 통한 관세 부담 완화(37%), 법인세 감세·투자 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18.7%), 신규 수출시장 발굴 지원(12.6%)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국 관세정책과 글로벌 저성장으로 인한 수요 침체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기업들의 비용 절감 중심의 단기 대응은 한계가 있다”며 “국내 수출기업의 비교우위를 반영한 통상협정과 수출 지역 다변화, 수출 경쟁력 제고를 통한 제도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