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강세에도 서학 개미, 미국 주식투자 '매수' 열풍

최근 두 달 사이 미국 주식 약 2조5000억원 순매수 7월 들어 미국 주식 매수세 강화 고환율 부담에도 뉴욕 증시 강세에 매수 행진 이어가

2025-09-05     김민수 기자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는 7월 1일부터 9월 3일까지 미국 주식을 17억8000만 달러(한화 약 2조4641억원) 순매수 결제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명동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미국 달러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원/달러 환율이 1400원에 근접할 정도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국내 투자자들이 최근 두 달 사이 미국 주식을 대거 사들이고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는 7월 1일부터 9월 3일까지 미국 주식을 17억8000만 달러(한화 약 2조4641억원) 순매수 결제했다.

월별로 보면 7월 6억8000만 달러(약 9532억원), 8월에는 6억4000만 달러(약 8934억원) 각각 순매수 결제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달 들어서도 지난 3일까지 4억4000만 달러(약 6179억원) 순매수 결제하면서 매수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6월 2억3000만 달러(약 3226억원)를 순매도 결제했던 것과 전혀 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5월에도 13억1000만 달러(약 1조8000억원) 순매도 결제했다.

원/달러 환율이 7월부터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서학개미의 미국 주식 매수세는 오히려 강화된 셈이다.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 기준 6월 1350.0원까지 하락했던 환율은 이달 4일 1392.5원까지 약 3.15% 상승했다.

일반적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일 때 미국 주식을 사들일 경우 추후 환율이 하락하면 환 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미국 주식 매수세가 약화되지만, 올해만큼은 다른 양상을 보이는 셈이다.

7월부터 코스피가 상승 동력을 잃으면서 박스권에서 답답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코스피와 다르게 미국 뉴욕 증시는 S&P500 등 주요 주가지수가 꾸준히 오르면서 달러 자산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상태다.

원/달러 환율 1400원을 목전에 둔 외환 시장과 투자자들은 오는 5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발표하는 8월 비농업 고용 보고서 내용에 집중하고 있다.

만약 해당 보고서에서 노동 시장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난다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 금리 인하 기대감이 한풀 꺾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고용 둔화’로 나타났을 경우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하가 거의 기정사실화되면서 환율도 하락할 전망이다.

이주원 대신증권 연구원은 “연준의 금리 인하가 가시화된 가운데 미국 시중 금리 하향 안정화에 달러 가치도 연동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 유동성 추가 확대에 고금리 불안감이 해소될 경우 달러 가치 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크게 둔화하며 경기 침체 우려가 유입되거나, 글로벌 재정 부담이 상당한 환경에서 관련 리스크가 위험 선호를 제한하며 달러 수요를 뒷받침할 가능성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