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감원장 “외국계 금융회사도 ‘금융소비자 보호’ 중시해야”
외국계 금융회사 25곳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 개최 “한국 금융시장 역동성 제고 위한 핵심 플레이어 돼 주길” 당부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취임 후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들을 연이어 만나고 있는 이찬진 금융감독원 원장이 외국계 금융회사들에게도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조했다.
15일 이찬진 원장은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외국계 은행, 생명보험, 손해보험, 증권, 자산운용 등 금융회사 25곳의 최고경영자(CEO)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그는 “날로 복잡해지는 금융상품 구조를 감안하면 외국계 금융회사도 금융소비자 보호를 보다 중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금융업권별 릴레이 간담회에서 매번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제시했다.
그는 “국내 금융회사와 외국계 금융회사의 영업방식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금융소비자 보호 원칙에 있어서는 어떠한 차이도 있을 수 없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금융상품 설계부터 판매와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금융소비자 권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원장은 외국계 금융회사들에 한국 금융시장의 역동성을 끌어올리기 위한 핵심 플레이어가 돼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이번 정부는 반도체 등 기존 주력산업 혁신과 인공지능(AI), 문화산업 등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국정과제를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금융당국은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유도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라며 “이러한 과정에서 글로벌 금융회사에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많이 창출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미국의 관세정책 등 대내외 불확실성과 관련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글로벌 시각을 토대로 향후 금융감독·검사 방향에 다양한 제언을 해주기를 당부했다.
이날 외국계 금융회사 CEO들은 한국 금융 중심지의 내실화 방안,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지수 편입의 전략적·체계적 추진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이와 더불어 외국계 금융회사의 규모·영업 형태 등 특수성을 고려해 규제를 보다 유연하게 적용해 줄 것을 요청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