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해킹피해 수백만명 가능성…MBK에 매각한 롯데그룹 속앓이 “이젠 계열사 아니에요”
당초 1.7GB 데이터 유출 신고했지만…"규모 훨씬 커" 조사 막바지 피해자도 수십만∼수백만 추산…조좌진 대표가 직접 사과문 및 대책 발표할 듯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회원 960만여명을 보유한 롯데카드의 '해킹 사고' 피해 규모가 예상보다 훨씬 큰 것으로 파악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피해자 규모가 수십만∼수백만명에 달할 수 있다는 관측까지 제기된다.
이 여파로 MBK파트너스에 롯데카드를 매각한 롯데그룹은 회사 및 브랜드 이미지 실추로 속앓이를 하고 있다.
17일 금융당국과 카드업계에 따르면 롯데카드와 금융당국은 해킹 사고로 인한 정보 유출 및 피해자 규모 등을 확인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조사는 막바지 단계로, 이르면 이번 주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 직접 대국민 사과와 피해 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롯데카드가 금감원에 보고한 유출 데이터 규모는 1.7기가바이트(GB) 수준이었지만, 금융당국 현장 검사 등을 통해 파악된 피해 규모는 예상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피해 규모가 알려진 것보다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며 "확인 작업이 잘 끝나면 이번 주 안에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카드 관계자도 "유출 규모가 파악했던 것보다 크다"며 "고객 정보 유출이 확인되고 특정이 되는 대로 바로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피해자 규모도 당초 예상처럼 수만명 수준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출된 정보의 경중은 다를 수 있지만, 전체 피해자 규모가 백만명 단위에 이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금융감독원은 국회 강민국 의원실에 보고한 자료에 "카드 정보 등 온라인 결제 요청 내역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며 고객정보 유출 가능성을 염두에 둬왔다.
롯데카드 해킹여파가 애꿎게 롯데그룹으로 퍼져 롯데가 속앓이를 하고 있다. 롯데카드의 최대주주는 사모펀드 MBK파트너스다. 이젠 롯데그룹과 연관이 없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롯데카드가 곧 롯데 계열사로 인식돼, 롯데 브랜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롯데그룹은 2017년 지주사 체제로 전환한 뒤 금융·보험업 계열사 보유가 불가능해지면서 2019년 롯데카드와 롯데손해보험을 각각 MBK파트너스, JKL파트너스에 매각했다.
MBK는 우리은행과 컨소시엄을 꾸려 롯데카드 지분 79.83%를 인수했고, 이 중 59.83%를 보유해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이와 관련해 MBK파트너스가 롯데카드 수익 극대화에 치중하면서 보안 투자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 조사와 검찰 수사를 동시에 받고 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