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전사 AI 조직 통합한 ‘AI CIC’ 신설…2030년 연매출 5조원 목표
【뉴스퀘스트=김어진 기자】 SK텔레콤이 인공지능(AI) 사내회사(CIC)를 출범한다. SKT는 AI CIC에 향후 5년간 약 5조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해 오는 2030년까지 연매출 5조원 이상을 달성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SKT는 25일 유영상 대표(CEO)가 주관하는 전 구성원 대상 타운홀 미팅에서 이같이 밝혔다.
유영상 CEO는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수요자 관점의 내부 AI 혁신과 공급자 관점의 AI 사업 혁신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전사 AI 역량을 결집한 정예화된 조직 체계인 AI CIC를 새롭게 출범시킨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SKT는 ▲에이닷(A.) 서비스 ▲기업 대상 에이닷 비즈(A. Biz) 서비스 ▲AI DC(데이터센터) 사업 ▲글로벌 AI 제휴투자 ▲AI R&D(연구개발) ▲메시징·인증 사업 등 기능과 조직을 AI CIC 체제로 재편한다. AI CIC 대표는 유영상 CEO가 겸임하며, 다음달 말 세부 조직 개편을 시행한다.
연매출 5조원 목표 달성을 위해 SKT는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을 통해 독자 생존 가능한 수익 구조 확보에 나선다.
수요 영역에서 B2C(기업 소비자간 거래)는 에이닷을 중심으로 국내외 가입자 기반을 확대해 지속 가능한 수익구조 확보에 집중한다. B2B(기업간 거래)는 에이닷 비즈 등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입증하고 제조 AI 분야 레퍼런스를 확보하는 등 사업을 확장한다.
공급 영역에서는 글로벌 빅테크를 타겟으로 AI DC를 유치하고, 정부 사업을 주도해 국내 최고 수준의 AI DC 사업자로 자리매김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분산된 AI 기술자산을 결집해 SK그룹 전체의 AI 기술·운영을 지원하는 ‘AI 플랫폼’ 역할을 강화하고, 정부·산업·민간의 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AI 모델’ 확보 전략도 함께 추진한다.
이날 SKT는 전사 시스템, 조직 문화, 구성원 역량 강화에 AI를 도입해 경쟁력을 높이는 내부 AI 혁신 방안도 함께 발표했다.
먼저 AI 역량을 보유한 구성원들을 조직 전반에 균형 있게 배치해 전사 AI 역량을 강화한다.
전사 시스템·인프라 측면의 AX(AI 전환)도 속도를 높인다. 이동통신 사업은 주요 업무 프로세스 최적화·자동화를 이루고, 네트워크(인프라) 사업은 운영 자동화 향상, 지능형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안정성 제고 등 AX기반 업무 혁신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유영상 CEO는 이날 발표한 AI혁신과 더불어 보안 혁신, 본원적 경쟁력 혁신 등 3대 혁신 과제를 통해 SKT가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고 재도약하는 데 힘을 모을 것을 구성원들에게 당부했다.
보안 영역에서는 지난 7월 발표한 정보보호 혁신 방안을 중심으로 보안 거버넌스 강화, 제로 트러스트 정보보호 체계 구축 등 기술·시스템 강화와 함께 정보보호 조직·인력 확대, 국내외 보안 전문가와 기관 자문 프로세스 도입 등을 추진한다.
또 통신 사업 전 영역에서 AI 기반으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본원적 경쟁력 혁신도 지속 추진해 갈 예정이다.
유영상 CEO는 “SK텔레콤은 지난 3년간 AI 컴퍼니로의 전환을 통해 에이닷 1000만 가입자 확보, 독자 AI파운데이션 모델 선정, 울산 AI DC 착수,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 등 다양한 성과를 확보하고 향후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AI CIC를 중심으로 또 한 번의 AI 혁신을 이뤄 고객과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글로벌 AI 컴퍼니로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