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체감경기, 두 달 연속 살아났다…반도체 업황 호조·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효과
9월 전산업 기업심리지수, 91.6 기록…8월보다 0.6포인트 상승 미국 관세 협상 관련 불확실성 여전…10월 추석 연휴도 변수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얼어붙은 기업 체감경기가 반도체 업황 호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으로 인해 두 달 연속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기업경기조사에 따르면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8월보다 0.6포인트 오른 91.6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이달 11~18일 전국 3524개 업체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3298개 기업(제조업 1843개·비제조업 1455개)이 참여했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중 주요 지수(제조업 5개·비제조업 4개)를 바탕으로 산출한 심리 지표를 뜻한다.
장기(2003~2024년) 평균인 100을 웃돌면 경제 전반 기업 심리가 낙관적이라는 의미로 해석되고, 이를 하회하면 비관적으로 볼 수 있다.
해당 지수는 지난 2022년 9월 101.6을 마지막으로 3년째 100선을 넘지 못하고 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CBSI(93.4)는 생산(+0.4포인트), 신규수주(+0.2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8월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비제조업 CBSI(90.5)의 경우 채산성(+1.4포인트)이 개선되면서 1.1포인트 높아졌다.
다만, 10월 CBSI 전망치는 전산업(88.5), 제조업(89.4), 비제조업(87.9)이 이달 전망치보다 각각 3.3포인트, 2.7포인트, 3.6포인트 낮아졌다.
10월 전망에 대해 이혜영 한국은행 경제심리조사팀장은 “미국 관세 협상 관련 불확실성이 있고, 추석 연휴로 영업 일수가 감소하는 영향도 있다”고 분석했다.
세부 업종별 기업경기실사지수 흐름은 제조업 중 전자·영상·통신장비가 개선됐으나, 화학물질·제품, 고무·플라스틱 등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비제조업은 도소매업, 과학·기술 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나아졌다. 이 중 도소매업은 명절 수요,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까지 반영한 9월 경제심리지수(ESI)는 91.3으로 8월보다 3.3포인트 낮아졌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92.3)는 0.6포인트 높아졌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