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GDP 성장률 1.2% '6개 분기 만에 최고'…소비·투자 회복+수출 호조

지난해 1분기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 기록 올해 8월 발표된 한국은행 예상치(1.1%) 웃돌아 민간 소비·정부 소비·설비투자, 성장률 이끌어…건설투자는 부진

2025-10-28     김민수 기자
한국은행은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1.2%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소비·투자가 회복되고, 수출 호조가 이어지면서 올해 3분기 한국 경제가 1% 넘게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은행은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1.2%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로 올해 8월 한국은행의 예상치(1.1%)를 웃도는 수준이다.

한국의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2%를 찍은 후 곧바로 2분기 -0.2%까지 하락했다.

이후 3분기(0.1%)와 4분기(0.1%) 정체를 거쳐 올해 1분기(-0.2%) 다시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2분기(0.7%) 반등한 후 3분기에도 성장세를 유지했다.

부문별로는 민간 소비가 1.3% 증가했다. 승용차·통신기기 등 재화와 음식점·의료 등 서비스 소비가 모두 늘었고, 정부 소비의 경우 물건비·건강보험 급여비 위주로 1.2% 성장했다.

민간 소비는 2022년 3분기(1.3%) 이후 최고 수준이었고, 정부 소비는 2022년 4분기(2.3%) 이후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를 중심으로 2.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경제 성장률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수출은 반도체·자동차 등의 호조로 1.5% 늘었다. 수입은 기계·장비·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1.3% 불어났지만, 증가율이 수출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 부진 등으로 0.1% 밀려나면서 6분기 연속 역성장을 기록했다.

3분기 성장률 기여도를 보면 내수와 순수출(수출-수입)이 각 1.1%포인트, 0.1%포인트로 집계됐다.

특히 내수 기여도가 2분기(0.4%포인트)와 비교해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내수 중 민간 소비(0.6%포인트), 정부 소비(0.2%포인트), 설비투자(0.2%포인트)의 기여도가 두드러졌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운송장비·컴퓨터·전자·광학기기 위주로 1.2% 늘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숙박음식업·금융보험업 등이 회복되면서 1.3% 증가했다.

올해 1분기 5.4% 역성장했던 전기·가스·수도업은 전기업을 중심으로 5.6% 반등에 성공했다.

건설업의 경우 토목건설은 증가했지만, 건물건설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증감 없이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농림어업은 재배업 부진으로 4.8% 감소했다.

3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0.7%을 기록하면서 실질 GDP 성장률(1.2%)을 하회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