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미래에셋증권, 제1호 IMA 사업자 선정 유력…이르면 이달 중 발표
금융당국 심사,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어 사상 최대 실적 바탕으로 ‘모험자본’ 공급 역할에 적격 내부통제 사고 발생한 NH투자증권은 선정 여부 ‘불투명’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금융당국이 자기자본 8조원 이상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이하 종투사)에 허용되는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자 지정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제1호 사업자’ 선정에 유력한 것으로 보고 있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재 IMA 사업 지정을 신청한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금융감독원 심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올해 7월 금융감독원은 IMA 사업 신청을 접수받은 후 사실조회, 법률검토에 이어 심사 절차를 밟아왔다.
이후 최종적인 심사보고서를 증권선물위원회에서 심의한 후 금융위원회 의결을 거쳐 지정이 확정될 예정이다.
IMA는 증권사가 원금 지급 의무를 지는 대신에 고객예탁금을 기업금융 관련 자산(70% 이상) 등에 투자해 수익을 추구하는 제도를 뜻한다.
투자자는 별다른 손실 위험 없이 초과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증권사는 기업 대출 등 다양한 기업금융 사업에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증권사들이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금융투자업계는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에 대한 심사 절차가 신속하게 이뤄지는 만큼 ‘공동 1호 IMA 사업자’ 지정이 유력한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 관계자는 “양사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내면서 몸집을 키워가고 있다”며 “금융당국에서도 ‘모험자본’ 공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최종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달 말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증권사 종투사 지정을 신속히 완료하는 등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는 금융투자협회장과 17개 증권사·자산운용사 최고경영자(CEO)와 가진 첫 간담회에서 “인공지능(AI), 양자역학 등 초기술은 기술개발이 불확실하고 개발기간이 길며 초기비용이 막대하게 든다”며 “초기술 격전에서 생존하려면 모험자본의 역할이 절실하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종투사 지정은 심사가 완료되는 순서대로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낙관적 전망이 나오고 있는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과 달리 NH투자증권은 IMA 사업자 지정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최근 고위 임원의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 등으로 내부통제 문제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로 구성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NH투자증권 IB 부문 고위 임원의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와 관련해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본사, 임원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이후 NH투자증권은 임직원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에 대한 후속 조치로 전담 ‘태스크포스팀’을 신설하고, 모든 임원의 국내 상장주식 매매를 전면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당초 NH투자증권도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과 마찬가지로 선정이 무난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고위 임원의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금융당국이 모험자본 공급 등 생산적 금융의 중요성을 내세우고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불공정 거래 척결에 대한 의지도 강하기 때문에 이번 혐의가 NH투자증권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