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을 건 주식 뿐?" '빚투' 열기에…5대 은행 마통 등 신용대출 1주일만에 1.2조 폭증
KB국민·NH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 가계신용대출 잔액 약 106조원 불과 1주일 만에 10월 전체 한 달 증가폭 뛰어넘어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사상 최대치 경신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주요 은행 마이너스통장 등 신용대출 잔액이 이달 들어 1주일 만에 1조2000억원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스피 지수가 사상 최고치 경신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개인투자자들의 '빚투(빚내서 투자)'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11일 연합뉴스가 분석한 KB국민·NH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 등 5대 은행의 이달 7일 기준 가계신용대출 잔액은 105조9137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10월 말(104조7330억원)과 비교했을 때 1조1807억원 불어나면서 1주일 만에 10월 한 달 증가 폭(9251억원)을 넘어섰다.
통상 신용대출 잔액은 변동성이 크지만, 7일까지 증가 폭만으로 지난 2021년 7월(+1조8637억원) 이후 약 4년 4개월 만에 최대 규모를 보였다.
대출 종류별로는 마이너스통장 잔액이 1조659억원 크게 늘었고, 일반신용대출이 1148억원 증가했다. 신용대출 급증세는 개인들의 주식 투자 확대와 맞물려 있다.
코스피지수가 이달 초 4200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 랠리를 이어가다가 인공지능(AI) 업종 과대평가 우려로 급락했지만, 개인 투자자들은 주식 투자에 몰두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외국인이 코스피에서 7조2638억원을 팔아치웠지만, 개인 투자자가 7조4433억원을 순매수하며 해당 물량을 거의 그대로 받아냈다.
특히 코스피가 장 중 6% 넘게 밀리면서 3800대까지 떨어졌던 지난 5일에는 하루 새 마이너스 통장 잔액이 6238억원 늘었다.
지수가 급등할 때 포모(FOMO·소외 공포)를 느꼈던 투자자들이 변동성 확대 국면을 ‘저가 매수’ 기회로 보고 주식을 사들인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코스피가 조정받고 있지만 여전히 고점권을 유지하면서 투자 심리가 식지 않았다”며 “레버리지 효과를 노린 투자자들의 마이너스 통장 활용이 지속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가 주택 관련 대출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부족한 주택 관련 자금을 신용대출로 마련하려는 수요도 있다”고 진단했다.
은행권 신용대출뿐 아니라 대표적인 빚투 지표인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7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26조2165억원으로 사흘 연속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로부터 보유한 주식 등을 담보로 자금을 빌린 뒤 아직 갚지 않은 금액을 의미한다.
빚투가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금융당국 관계자도 이를 부추기는 발언을 내놨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최근 라디오 인터뷰에서 청년층 빚투 증가세와 관련해 “그동안 너무 나쁘게만 봤는데 레버리지의 일종”이라고 말하며 코스피 지수 ‘5000’ 가능성에는 “당연히 가능하다”고 강조했따.
다만, “리스크를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말을 덧붙이기는 했지만, 부동산 관련 대출을 강력하게 제한한 금융당국이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는 데 상대적으로 관대한 태도를 보인 셈이다.
일각에서는 최근 주가가 조정 국면에 들어서면서 빚을 내 투자한 개인 투자자의 손실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외국인 자금 유출이 지속되면 신용융자 반대매매와 맞물려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이보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유가증권시장 신용융자 증가의 시사점’ 보고서에서 “올해 신용융자는 자본재와 반도체 업종에 집중돼있어 주가 하락 시 반대매매에 따른 해당 업종 가격 하락이 증폭될 우려가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두 업종이 코스피 시가 총액의 50%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지수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상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외국인 투자자 매수세가 개인투자자가 신용 투자한 업종의 주가 상승세를 견인했기 때문에 환율 변동, 대외 경제환경 변화로 인해 외국인자금이 국내 시장에서 유출될 경우 해당 종목 급락 위험과 신용투자로 인한 파급효과 증폭 가능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