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 경제 성장률 전망치 0.8%→0.9% 소폭 상향 조정
“성장세 확대되면서 경기 완만하게 개선되는 모습” 진단 내년 전망치는 0.2%포인트 높인 1.8%로 제시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국책연구 싱크탱크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소비가 개선되며 경기가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8%에서 0.9%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11일 KDI는 ‘2025 하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이날 KDI는 “최근 우리 경제는 성장세가 확대돼 경기가 완만하게 개선되는 모습”이라며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9%로 제시했다. 이는 올해 8월 수정 경제전망(0.8%)보다 0.1%포인트 높은 수치다.
KDI는 5월과 11월 각각 상·하반기 경제전망을, 2월과 8월에는 경제 상황 변화를 반영한 수정 경제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번 KDI의 경기 판단은 소비와 수출이 개선되고 있는 점이 영향을 끼쳤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시장금리 하락세, 정부 지원 정책(소비쿠폰) 등으로 상반기 0.7%에서 하반기 1.8%로 크게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간으로는 1.3%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은 미국의 관세인상에도 반도체경기 호조에 따라 상반기 1.7%·하반기 4.1%로 나아지면서 연간 2.9% 성장할 것으로 분석했다.
KDI 수정 전망은 올해 8월 정부가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서 언급한 전망치와 동일한 수준이다. 한국은행도 8월 수정 경제전망에서 같은 수치를 제시한 바 있다.
다만, 최근 분위기에 비해서는 다소 보수적인 판단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GDP 관련 백브리핑에서 3분기 GDP 증가율(1.2%·속보치)이 지난해 1분기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하면서 연간 성장 전망을 1%대로 상향 조정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KDI 역시 3분기 호조를 상향 요인으로 보기는 했지만, 하방 요인으로 건설업 부진을 지목하면서 0%대 성장률을 유지했다.
정규철 KDI 거시·금융정책연구부장은 “산술적으로 4분기 -0.1% 이상 성장이면 연간 1.0%가 되는데 3분기에 큰 폭으로 성장을 했고 정부의 재정 지원, 소비쿠폰 등이 집중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다만, 4분기에 소폭 마이너스를 기록한다고 이를 경기가 나빠진다고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KDI는 내년 성장률로 1.8%를 제시했다. 지난 8월 수정 전망(1.6%)보다 0.2%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민간소비는 회복세가 계속되면서 올해(1.3%)보다 높은 1.6%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관련 투자 수요가 높은 수준을 지속함에 따라 올해(2.5%)에 이어 2.0%의 완만한 증가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의 경우 올해(-9.1%) 큰 폭의 감소에서 2.2% 증가로 전환해 부진이 일부 완화될 것으로 봤다.
그러면서 올해 건실했던 수출이 내년 한국 경제의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관세인상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총수출(물량) 기준은 올해(4.1%)보다 낮은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반기는 0.2% 감소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KDI 측 설명이다.
김지연 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은 “고율 관세는 여전히 세계 무역에 상당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본격적으로 영향이 나타나는 시기가 뒤로 미뤄진 것이지, 위험이 아예 없어졌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