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준의 승부수...효성 美멤피스에 3억 달러 베팅, 글로벌 전력기기 ‘빅4’ 굳힌다
대규모 증설, 2028년까지 초고압변압기 생산능력 50%이상 확충
【뉴스퀘스트=김동호 기자】 효성 조현준 회장의 미국 전력시장 선점 전략이 ‘멤피스 공장 대규모 증설’로 본격화되고 있다. AI 데이터센터 확산과 노후 전력설비 교체 등으로 수요가 급증하는 미국 전력 시장을 선점하고, 글로벌 전력기기 ‘빅4’ 입지를 굳히겠다는 전략이다.
효성중공업은 18일 멤피스 공장에 1.57억 달러(약 2300억 원)을 추가 투자해 2028년까지 초고압변압기 생산능력을 50% 이상 확충한다고 밝혔다. 이번 증설은 공장 인수 이후 세 차례에 걸친 투자 누적액을 총 3억 달러(약 4400억 원)로 확대하는 것으로, 멤피스 공장을 미국 최대 초고압변압기 생산기지로 자리매김시키는 결정적 조치다.
멤피스 공장은 미국 내에서 유일하게 765kV 초고압변압기를 설계·생산할 수 있는 곳으로, AI 전성장 시대의 초대용량 송전망 구축에 필수적이다. 효성중공업은 이미 미국 765kV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유지하며 설치된 설비의 절반 가까이를 공급해 왔다.
미국은 AI 데이터센터 확대와 노후 전력망 교체로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상황이다. 미국 변압기 시장은 연평균 7.7% 성장, 2034년에는 257억 달러(약 37.5조 원) 규모로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 전력사들은 전체 전력 수요의 15%에 달하는 116GW 규모의 신규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계획, 그리고 2040년까지 309GW 추가 확대 계획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765kV 초고압 송전망 확충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입찰 규모도 빠르게 커지고 있다.
효성중공업은 현지 투자 확대를 통해 고객사가 요구하는 초대량 전력 공급 설비를 적기 공급하고 미국 시장 내 공급망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이번 증설은 조현준 회장의 ‘뚝심 경영’이 배경이 됐다. 조 회장은 2020년 멤피스 공장을 인수할 당시 내부 우려에도 불구하고 “AI 시대 전력 인프라 주도권 확보를 위해 미국 생산거점 확보는 필수”라고 판단해 투자를 강행했다.
이후 조 회장은 미국 에너지부 장관, 실리콘밸리 IT 리더, 국제에너지기구(IEA) 수장, 카타르·일본 등 글로벌 인사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전력·에너지 산업 협력 기회를 넓혀왔다.
조 회장은 “이번 증설을 기반으로 효성중공업이 글로벌 No.1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도약할 것”이라며 “미국 전력 인프라 시장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 잡겠다”고 강조했다.
효성중공업은 올해 3분기 매출 1조6241억 원, 영업이익 2198억 원을 기록하며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글로벌 수주잔고는 약 11조 원으로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