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 1~3분기 누적 순이익, 21조원 돌파…역대 최대 실적 경신
환율 하락으로 인한 외환·파생 이익 등 비이자이익 증가 효과 금융감독원 “은행의 손실 흡수 능력 확충·건전성 관리 강화 유도할 것”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환율 하락으로 외환·파생 이익 등 비이자이익이 크게 늘면서 올해 들어 국내 은행들의 누적 순이익이 2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2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1~3분기 국내 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국내 은행들의 순이익은 21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18조8000억원)보다 2조3000억원(12.0%) 증가한 규모로 역대 최대 실적이다.
이자 이익이 44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44조4000억원)보다 3000억원(0.7%) 불었다.
순이자마진(NIM)이 0.07%포인트 감소했으나, 이자수익 자산이 3413조5000억원으로 4.5% 증가하면서 이자 이익도 늘었다.
특히 비이자이익은 6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조7000억원)보다 1조1000억원(18.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외환·파생 관련 이익이 2조6000억원 불어난 점이 비이자이익 상승에 영향을 끼쳤다.
영업외손익은 1조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조1000억원 증가하며 흑자 전환했다.
지난해 상반기 일회성 비용으로 작용했던 홍콩 주가연계증권(ELS) 배상금이 제외됐고, 은행의 자회사 등 투자지분 손익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20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9조4000억원) 대비 1조2000억원(6.3%) 불었다. 인건비와 물건비 모두 늘었다.
대손비용은 4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4조6000억원)보다 1000억원(2.4%) 증가했다.
이번 실적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환율 하락에 따른 외환·파생 관련 이익의 일시적 증가, 작년 ELS 배상금 기저효과 제외 등에 주로 기인했다”며 “이자이익은 금리하락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수준이 지속되고 있다”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향후 미국 관세정책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대손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며 “은행에 손실 흡수 능력 확충과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유도하겠다”고 덧붙였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