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황에도 작년에 이어 올해 1분기 실적 역시 ‘고공성장’ 예상
정부 압박에 ‘성과급 잔치’ 논란 관련 싸늘해진 여론 부담 느껴

경기불황의 여파 속에서도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 1분기 우수한 성과가 예상되는 금융업계와 통신업계가 실적 발표를 앞두고, 정부 당국의 압박과 싸늘한 여론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픽사베이]
경기불황의 여파 속에서도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 1분기 우수한 성과가 예상되는 금융업계와 통신업계가 실적 발표를 앞두고, 정부 당국의 압박과 싸늘한 여론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픽사베이]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똑같은 대기업인데 삼성전자 실적이 낮게 나오면 걱정하고, 금융기업 실적이 높게 나오면 안 좋게 보는 시각 때문에 너무 답답합니다.”

올해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금융업계와 통신업계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난처한 상황에 빠졌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우수한 실적이 예상되고 있지만, 한동안 성과급 논란 등을 겪으면서 한껏 몸을 사리는 분위기다.

10일 금융·통신업계에 따르면 조만간 올해 1분기 실적이 기업별로 발표될 예정이다.

먼저 금융업계의 경우 KB국민·NH농협·신한·우리·하나(가나다 순) 등 5대 금융지주 모두 1분기 실적이 작년보다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직 금리인상 기조가 꺾이지 않은 상태에서 예대마진 차이가 작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벌어졌기 때문에 ‘맏아들’격인 은행이 수익 상승을 이끌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요구대로 충당금 정립을 늘리고, 사회 환원도 꾸준히 전개하고 있지만 이번 실적 발표 이후 어떤 비판이 쏟아질지 벌써부터 부담스럽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어 “최근 은행마다 ‘상생금융’을 외치면서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과 금융 취약계층·자영업자·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여기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5대 금융지주사들은 금융당국의 정책에 적극적인 협조에 나서면서 경기불황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지난해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가 터진 이후 채권시장이 경색되면서 95조원 규모의 유동성·자금 지원에 나선 바 있다.

특히 사회적 책임에 최선을 다하려는 금융지주들의 기조는 올해도 이어져 은행별로 앞 다퉈 금리인하, 이자유예, 대출 금리 감면 수용권 확대 등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융당국은 ‘공공성’을 내세우면서 여전히 금융기업들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이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면 그만큼 국가 경제에도 부담이 된다”며 “예대마진 차이가 주요 수입원인데 시장 논리가 아닌 강제적으로 이를 줄이려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금융업계의 분위기는 통신업계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올해 1분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합산 영업이익이 지난해 1분기보다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정부가 민생안정 대책 중 하나로 꺼내든 ‘가계 통신비 인하’ 압박에 더 시달릴 가능성이 크다.

심지어 일부 통신업계는 정부당국의 눈치를 보느라 정보통신 관련 정책에 대해 본인들의 생각과 입장을 밝히는 것조차 꺼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A통신사 관계자는 “정부가 통신비 절감 등을 통해 민생안정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내비치면서 업계 내에서 실적에 대해 쉬쉬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여기에 추가로 5G 가입자 수가 3000만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가입자 전환에 따른 매출 성장을 기대했지만, 앞으로의 시장 규제를 고려했을 때 녹록치 않은 상황이라는 게 통신업계의 중론이다.

실제로 통신 3사는 그동안 5G 중간요금제, 장년층 특화 5G 요금제 등과 관련해 정부당국의 강한 압박에 시달려왔다.

최근 SK텔레콤이 선제적으로 관련 요금제를 출시한 가운데 KT와 LG유플러스도 비슷한 요금제를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B통신사 관계자는 “이제 더 이상 통신시장은 양적 성장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상승 호재가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봤을 때 매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왜 이렇게 정부가 5G 요금제 등 각종 규제에만 몰두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