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대비 가계부채, 최근 5년 사이 92%→108% 증가
같은 기간 기업부채도 147%→173%로 늘어
글로벌 고금리 장기화에 리스크 관리 부담 커져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업데이트한 ‘세계부채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2년 기준 108.1%였던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업데이트한 ‘세계부채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2년 기준 108.1%였던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한국 가계부채가 민간부채(가계·기업) 데이터를 집계하는 26개국 중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가계부채뿐 아니라 기업부채도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리스크 관리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새어나오고 있다.

3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업데이트한 ‘세계부채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2년 기준 108.1%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전인 2017년(92.0%)과 비교했을 때 16.2%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이번 조사에 포함된 26개국 중 유일하게 두자릿수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슬로바키아 9.1%포인트 ▲일본 7.7%포인트 ▲요르단 6.0%포인트 ▲룩셈부르크 3.9%포인트 ▲칠레 2.8%포인트 ▲스위스 2.5%포인트 ▲독일 2.3%포인트와 비교하면 증가폭이 꽤 높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다.

미국(79.5→77.0%)을 비롯해 캐나다, 네덜란드, 영국, 오스트리아, 덴마크, 노르웨이, 포르투갈, 그리스, 아일랜드, 폴란드 등은 가계부채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중이 빠르게 증가한 결과, 절대 수준도 스위스(130.6%)에 이어 2위에 올랐다. 2017년의 경우 26개국 중 7위였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저금리 속에서 주택담보대출이 많이 늘어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며 “대량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이뤄지는 한국 특유의 주택구입 시스템과 맞물린 것”이라고 전했다.

문제는 기업부채도 가계부채 못지않게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2017년 147.0%에서 2022년 173.6%로 26.6%포인트 높아졌다. 

해당 수치는 룩셈부르크(38.0%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 높은 증가폭이다.

IMF가 한국의 기업부채 데이터를 처음 집계한 2008년에는 152.6%를 기록했다.

2009년 160.0%로 증가한 후 2010~2016년 150%대 초중반에 머물렀다.

2017년 147.0%로 낮아졌다가 2018년 149.8%, 2019년 154.9%, 2020년 164.8%, 2021년 166.8% 등으로 매년 증가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이 이뤄지면서 기업부채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기업들의 사정이 악화하면서 점차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금창출 능력이 떨어지는 회사들의 부채 증가가 상당히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가계부채와 기업부채가 계속 늘다보니 GDP 대비 민간부채(가계+기업) 비율도 덩달아 높아졌다.

한국의 민간부채 비율은 2017년 238.9%에서 2022년 281.7%로 42.8%포인트 상승하면서 26개국 중 가장 높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7년 한국의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은 전체 11위였지만, 2022년 기준 전체 2위로 순위가 올라갔다.

가계·기업뿐 아니라 한국 중앙정부도 계속 늘어나는 부채에 부담을 갖고 있다.

2022년 한국 정부의 부채는 GDP 대비 54.3%를 기록하면서 2017년(40.1%)보다 14.2%포인트 증가했다.

절대 비율에서는 GDP의 절반 수준으로 일본(261.3%)·이탈리아(144.4%)·미국(121.4%)·프랑스(111.7%)·캐나다(106.6%)·영국(101.4%)·독일(66.5%) 등 주요7개국(G7)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낮은 수준이지만 안심할 수는 없다.

달러, 엔화, 유로화, 파운드화 같은 기축통화 보유국과 단순 비교하기 어렵고, 한국 정부 부채의 대외채무 비중이 높다는 의견이 있기 때문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