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퀘스트=베이징/전순기 통신원 】

베이징에 소재한 한 병원에서 진찰을 받고 있는 중국의 노인들. 최근 급속하게 늘어나면서 국가 경제의 발전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다.[사진=신화통신]
베이징에 소재한 한 병원에서 진찰을 받고 있는 중국의 노인들. 최근 급속하게 늘어나면서 국가 경제의 발전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다.[사진=신화통신]

【뉴스퀘스트=베이징/전순기 통신원】 지난 세기 말까지만 해도 한국을 부러워했던 중국은 이제 경제에서도 G1을 꿈꾸는 막강한 경쟁력의 국가가 됐다. 내심으로는 목표 연도인 2035년 이전에 미국 추월도 가능하다는 자신감에 충만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지난 2018년 상반기부터 최근까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진두지휘 아래 지구촌 유일무이의 라이벌 국가 중국 죽이기에 국력을 총 경주했던 것도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중국의 노골적인 야심 노골화와 미국의 견제는 너무 성급했던 것일 수 있을지 모른다. 모든 분야에서 굴기(崛起. 우뚝 섬)할 수밖에 없는 운명의 중국이 최근 세계적 노인 대국의 길로 급속히 진입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폭발 이후부터 상당히 어려운 상태에 직면한 경제가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어려울 정도로 후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관영 신화(新華)통신을 비롯한 매체들의 최근 보도를 종합하면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중국의 60세 이상 고령층은 전체 인구 14억1175만 명의 19.8%인 2억8004만 명에 이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는 전년의 18.9%, 2억6736만 명과 비교할 경우 1년 새 무려 0.9%P나 증가한 것이다. 상당히 빠른 속도라고 할 수 있다.

말할 것도 없이 올해는 20%를 가볍게 넘어설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앞으로는 더 말할 필요조차 없다. 심지어 2050년에는 전체 인구의 40% 가까이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완전히 고령층 대국이 된다고 단언해도 좋다.

노인의 기준이 되는 65세 이상 인구 역시 예사롭지 않다. 지난해 말 기준 2억978만 명에 이르렀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년의 14.2%보다 0.7%P 증가한 14.9%에 달했다. 올해는 가볍게 15%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문화 평론가인 런민(人民)대학의 마샹우(馬相武) 교수는 “65세 이상이 전체 인구의 14%를 넘어서면 고령 사회라고 단언해도 무방하다. 중국은 이미 이 상태를 가볍게 넘어섰다. 앞으로는 20% 이상인 초고령 사회로 달려갈 것 같다. 과연 이게 국가적으로 축복인지 모르겠다.”면서 현재 상황이 심상치 않다고 분석했다.

마 교수의 분석처럼 노인 인구가 급증하는 것은 개인적으로는 모르겠으되 사회 전체적으로 보면 축복이 절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생산 인구의 감소가 확실해지는 만큼 무엇보다 전체 생산력의 급전직하와 연결될 수 있다.

실제로도 2030년 이후부터는 우려가 현실이 돼 잠재 경제성장률을 2∼3%P 깎아먹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G1이 채 되기도 전에 저성장 국가로 진입하는 것은 시간문제가 될 것이라는 단정이 충분히 가능하다.

노인 복지에 투입될 막대한 예산을 감안할 경우 중국 정부의 경제적 부담도 더욱 가중될 것이 확실하다. 예컨대 연금과 노인 돌봄 인프라에 투입될 재정이 미래 먹거리 창출에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될 연구개발(R&D) 예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것이다.

여기에 그렇지 않아도 열악하기로 세계적으로 정평이 나 있는 의료 서비스의 현실을 상기할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해진다. 항간에 유행하는 ‘칸빙난, 칸빙구이(看病難, 看病貴)’라는 유행어 하나만 봐도 좋다. “병원에 가는 것이 힘들고 병원비는 비싸다.”라는 의미로 현 의료 수준을 분명히 말해준다. 노인 대국화가 대재앙을 불러일으키지 말라는 법이 없는 것이다. 중국이 노인 대국이 되는 것은 진짜 축복이 아니라 재앙이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