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취약일자리 고용시장 악화 영향...표본 수정도 영향 미친듯

[그래픽=뉴스퀘스트]
[그래픽=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허용기 기자] 지난해 4분기 고소득층(상위 20%, 5분위)과 저소득층(하위 20%, 1분위)과의 소득 격차가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로 벌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이후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저소득 가구의 소득을 늘리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지만 양극화 심화현상을 완화하는데 실패했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18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상위 20% 가구 평균 소득은 932만4300원으로, 하위 20%의 가구 평균 소득은 123만8200원과 808만6100원이나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균등화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는 고소득 가구 소득이 저소득 가구 소득의 5.47배다. 4분기 기준으로 2003년 통계작성 이후 역대 최대 폭이다. 문재인정부 출범 1년차인 2017년 말에 비해 2년차인 2018년 말 소득 양극화가 더 심해졌다는 의미다.

이러한 흐름은 전년과 비교하면 선명하게 드러난다.

2017년 4분기에는 전체 가구 소득이 조금씩 늘어나는 가운데 저소득층 소득이 더 크게 늘었다. 당시 상위 20% 가구 평균 소득은 844만97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1% 증가했했지만 하위 20% 가구 평균 소득은 150만4800원으로 전년대비 10.2%로 더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반면 지난해 4분기에는 저소득층 소득이 급감하고 고소득층 소득이 급증했다.

상위 20% 가구 평균 소득은 10.4% 증가했지만, 하위 20% 가구 평균 소득은 17.7% 감소한 것이다.

특히 하위 20%는 최저임금 상승에도 근로소득이 36.8%나 줄었으며, 사업소득도 8.6% 감소했다.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박상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하위 20% 가구의 평균 소득이 급감한데 대해 “지난해 4분기 중 상용직이 34만2000명 증가했지만 임시직은 17만명 감소했다”며 “취약한 일자리를 중심으로 고용시장이 악화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 정책효과가 나타나고는 있지만 시장 상황이 이보다 더 좋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통계청은 지난해 가계동향조사 표본을 확대 개편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분기부터 표본이 5500 가구에서 8000 가구로 늘었는데 새로 편입된 표본가구에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낮은 1인가구와 고령층 가구의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