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사업 예상기간 10~15년 계약 예상했지만 5년 계약에 그쳐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자력발전소 공사 현장. [사진=한국전력]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자력발전소 공사 현장. [사진=한국전력]

[뉴스퀘스트=최인호 기자]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등 국내 업체들이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자력발전소 정비사업을 수주하고도 해당 사업 수주기간과 규모가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논란이다.

한수원은 24일 바라카원전 운영사인 '나와(Nawah) 에너지'와 정비사업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한국과 UAE가 원전 건설부터 설계, 운영, 정비까지 원전 전 주기에 걸친 협력을 완성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계약 내용은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한수원은 발전설비 정비업체인 한전KPS와 컨소시엄(팀코리아)을 꾸려 바라카원전 정비사업계약을 '통수주'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해왔다. 한수원 고유 기술로 만든 한국형 원전 ‘APR1400’이 설치되는 만큼 한수원이 정비 계약을 모두 따낼 것으로 기대했다.

단독수주 시 계약금액은 2조~3조원 규모로 추정됐다. 하지만 이번 계약에서는 전체 사업 예상기간(10~15년)보다 턱없이 적은 5년으로 한정했다.

또 수주전에서 팀코리아와 경쟁했던 미국이나 영국 업체에도 정비사업의 일부분을 맡길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대해 한수원 측은 "나와가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 외 어떤 업체와 계약을 했는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바라카 원전의 후속 사업 수주가 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를 내면서 정부의 원전 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도 한층 거세질 전망이다.

원전업계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결과라는 주장이다. 원전 수주를 둘러싼 국가 간 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한국정부가 원전을 줄이고 신재생 에너지를 늘리는 에너지전환 정책을 펴 경쟁국에 공격할 거리를 제공했다는 게 이유다. 특히 원전산업 축소에 따른 전문인력 이탈 우려 등이 UAE의 신뢰를 떨어뜨렸다는 주장도 나온다.

하지만 국내 원정정책과는 별개로 원전 수출에는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는 점에서 정부의 원전 정책이 이번 결정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반론도 있다.

실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체코, 올해는 카자흐스탄에서 ‘원전 세일즈’를 벌였다.

한편,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UAE 바라카 원전 정비사업 계약 관련 브리핑을 열고 "UAE가 우리 정부의 원자력 정책 방향과 바라카 원전 사업을 연계해 얘기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며 "이번에도 '나와에너지'가 명백하게 파트너 선정 의사 과정은 우리나라의 원전 정책과 무관하다 밝혔기 때문에 (탈월전 정책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 원전 정비계약 추진 사례를 보면 원전 기술을 갖고 있지 않은 국가가 원전을 수입했을 때 보통 원전 수입국이 정비사업의 일정 부분을 수행하고 타국에 다른 부분은 맡기는 것이 일반적 형태"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