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환경·디자인에서 5만5000명 창출...문화·관광분야 사회적기업 집중육성

정부가 다양한 환경관련 일자리를 만들기로 한 가운데 환경 감시 드론도 주목받고 있다. 서울 서초구가 대형 재건축 공사장 상공위로 드론을 띄워 안전관리와 미세먼지 등 준수사항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서초구]
정부가 다양한 환경관련 일자리를 만들기로 한 가운데 환경 감시 드론도 주목받고 있다. 서울 서초구가 대형 재건축 공사장 상공위로 드론을 띄워 안전관리와 미세먼지 등 준수사항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서초구]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향후 2~3년 동안 환경과 디자인 분야, 그리고 사회적기업에서 일자리가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환경과 디자인 분야의 산업을 육성하고, 문화예술·체육·관광 분야의 사회적기업을 만들어 일자리 창출에 나서기로 했기 때문이다. 특히 환경 분야에서는 2022년까지 5만여 개의 전문직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3일 제12차 회의를 열어 '환경 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과 '디자인 주도 일자리 창출 방안',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통한 문화서비스·일자리 창출 방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 2022년까지 환경·디자인 일자리 5만5000개 창출

환경 분야에서는 미세먼지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산업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환경과 일자리 문제를 함께 잡는다는 구상이다.

'통합 환경 컨설턴트', '미세먼지 예보·분석', '환경 측정·분석사' 등 전문적인 환경산업 일자리가 대표적이다.

환경 측정·분석사의 경우는 환경 측정 업체의 채용을 의무화해 청년이 지속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로 만든다는 복안이다.

또 물 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한 물 산업 육성 서비스, 도시지역 생태계 복원사업, 드론 등을 활용한 오염원 감시, 재활용 산업을 지원 사업 등을 통해서도 일자리를 만든다.

이를 통해 정부는 올해부터 오는 2022년까지 환경 분야에서만 약 5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추산했다.

디자인 분야에서는 디자인 혁신 유망 기업을 발굴해 지원하고 지역 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과 연계한 청년 디자이너 육성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성장과 혁신, 공공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촉진함으로써 2022년까지 약 54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문화 관련 사회적 기업으로 발달장애인들로 구성된 '드림위드 앙상블'이 지난해 청와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뉴스룸]
문화 관련 사회적 기업으로 발달장애인들로 구성된 '드림위드 앙상블'이 지난해 청와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뉴스룸]

◇ 문화 분야 사회적기업 육성

정부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확산으로 문화 수요가 커지는 추세에 발맞춰 생활 밀착형 문화서비스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우선 문화예술, 체육, 관광 분야의 사회적기업을 비롯한 사회적경제조직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형 예비사회적기업 지정제도'를 올해 하반기 도입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현재 고용노동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만 운영하고 있는 예비사회적기업 지정제도를 문화체육관광부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지정되면 정부나 지자체로부터 직접적인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 사회가치창출팀, 스포츠 사회적경제창업지원센터, 관광두레 전담 중간지원조직과 같은 분야별 전담 중간지원조직도 운영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문화, 체육, 관광 분야에 특화된 사회적기업에 대해 창업, 성장·성숙기까지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방침이다.

관광 분야에선 창의적 관광벤처와 지역주민이 참여해 숙박 등 관광사업을 운영하는 사회적경제조직인 '관광두레' 사업체를 2018년 367개에서 2022년 1125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문화예술 분야에선 발달장애인들의 클라리넷 연주단 '드림위드 앙상블'이나 미술 큐레이팅 업체 '에이컴퍼니'와 같은 사회적기업을 목표로 사회적경제조직들을 발굴 육성한다.

이 같은 방안들을 실행하기 위해 문체부, 중간지원조직, 관계기관, 사회적경제조직 등이 참여하는 '문화 분야 사회적경제 협의체'도 구성된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