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part 810' 허가로 불씨 살아...한미컨소시엄으로 사우디 수출 가능성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사진=산업통상자원부]

[뉴스퀘스트=박민석 기자] 오는 2020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전 2기(2.8GW, 사업규모 13조원) 발주가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이 사우디 원전 수출을  위해 한국과 컨소시엄 구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붕괴 일보직전인 국내 원전 산업은 해외 원전시장 진출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한금융투자는 25일 미국과의 사우디 원전 수출 컨소시엄이 성사될 경우  ‘국내 원전업체들의 해외 원전시장 진출은 아직 꺼지지 않은 불씨’라며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신한금투의 허민호 연구원은 “최근 미국 정부는 ‘Part 810’ 허가를 통해 미국의 6개 원전 기업에게 사우디의 원전 예비조사를 할 수 있는 기술 수출을 승인했다”며 “미국의 사우디 원전 수출 논의가 본격화함에 따라 이들 원전 기업들이 한국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구성, 사우디 등 중동 원전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주장했다.

지난 3월 로이터통신은 미국은 자국 기업이 사우디아라비아에 원자력 기술을 판매 및 지원할 수 있게 하는 인가 6건(Part 810 허가)을 비밀리에 내줬다고 보도한 바 있다.

‘Part 810’으로 알려진 미국 정부의 인가는 미국 기업이 사우디와 어떤 형태의 원자력 거래 합의에 최종적으로 도달하기 전이라도 원전에 들어가는 장비 이송을 제외한 원전 예비조사를 할 수 있는 사전 작업과 기술 수출을 할 수 있도록 허가한 것이다.

허 연구원은 “실제 사우디에 원전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미국 의회의 승인을 통해 '123 협정'이 타결돼야 한다”며 “의회 승인은 시간이 꽤 필요하지만,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123협정'은 1954년 제정된 미국 원자력법의 123조에 유래된 것으로 미국이 다른 나라와 원자력에 관한 협력을 시작하기 전에 체결되야 하는 협정이다.

미국은 사우디가 계획 중인 원전 2기 건설 사업을 수주하기 위해 미국과 사우디 간 원자력 기술을 공유하는 광범위한 거래를 조용히 추진해 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상당수 미 의원들은 미국이 사우디와 핵기술을 공유할 경우 이것이 중동 지역의 핵무기 경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허 연구원은 “지난 10년간 러시아와 중국이 글로벌 원전의 대부분을 수주했다”며 “핵 안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미국이 정치 경제적으로 관여가 가능한 원전이 늘어나야 하는 만큼 미국 입장에서는 그동안 국내 원전 건설 지속, UAE 원전 건설에 성공한 한국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지난 40년 가까이 원전을 건설하지 않아 '공급망'이 붕괴된 상황이다.

미국과 사우디 원전 시장 공동 진출에 성공할 경우, 원자로 설계는 웨스팅하우스 등이 담당하겠지만 종합설계는 한전기술, 주요 기자재 공급(원자로 등)은 두산중공업 등이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허 연구원은 “한국 기업들의 원전 2기 건설 수주 규모는 10조원 정도라며 ”2040년까지 중동지역에서는 총 24GW, 글로벌적으로 총 123GW의 원전 구축이 계획되어 있는 만큼 미국과 한국의 컨소시엄 성공시 사우디 원전 2기에서 끝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핵안보' 통제 능력 및 원전기술 유지, 원전건설금융과 한국의 원전 공급망 유지 및 부품 수출, 유지, 보수 등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다른 신흥국 수출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우디 원전 건설 사업에는 미국과 한국, 러시아 등이 참여해 경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에너지 전문가들은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시설 테러를 계기로 원유시장이 급등락 하는 등 국제 에너지 시장의 혼란이 예상된다“며 “한국은 사우디 원전 건설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만큼 이참에 탈원전 정책을 전면 수정, 한·미·사우디 전략 연대의 기반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