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는 약 1만5000그루의 보호수가 있습니다.

마을에 오래 살아 마을 사람들의 삶과 함께 한 나무입니다. 느티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등 여러 수종의 나무입니다. 이 나무에는 각자 스토리가 있습니다.

나무와 관련된 역사와 인물, 전설과 문화가 있습니다. 이게 바로 문화콘텐츠입니다.

나무라는 자연유산을 문화유산으로 승화시킨 예입니다.

뉴스퀘스트는 경상북도와 협의하여 경상북도의 보호수 중 대표적인 300그루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연재합니다. 5월 3일부터 매주 5회 연재를 시작합니다.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청송 월막리 왕버들과 느티나무는 마을에 평안을 가져다주는 용의 전설을 간직한 현비암을 지켜온 크고 아름다운 나무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뉴스퀘스트=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청송군의 중심이랄 수 있는 청송읍에는 기암절벽이 둘러쳐진 아름다운 강, 용전천(龍纏川)이 흐른다.

용전천을 따라 이뤄진 절벽 곳곳에서 아름다운 바위를 만날 수 있는데, 그중에 현비암(賢妃岩)은 첫손에 꼽을 만큼 신비로운 바위다.

현비암은 용의 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 해서 옛날에는 용비암이라 불렀다고 한다.

지금도 쓰이는 ‘용비암’이라는 이름이 지어진 데에는 연유가 있다.

옛날 한 부지런한 여인이 아침에 빨래를 하려고 강변의 빨래터에 갔는데, 이때 용이 승천하는 것을 보게 됐다.

깜짝 놀란 여인이 소리를 치자, 하늘로 오르던 용은 그 자리에 떨어져 바위가 되고 말았다.

용머리 모양을 한 그 바위를 사람들은 날 비(飛)자를 써서 ‘용비암’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용이 날아오르기 전에 엎드려 있던 바위 아래쪽의 강은 감돌다는 뜻의 한자인 전(纏)을 써서 용전천(龍纏川)이라고 불렀다.

그때 마을 여인 때문에 승천의 꿈을 이루지 못한 용은 마을에 해코지했다.

마을에는 이때부터 번번이 흉년이 들었다.

마을 사람들은 용의 노여움을 풀어야만 흉년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생각에서 바위 위에 성황당을 짓고 성황제를 올리며 용의 평안을 기원했다.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사진=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오랫동안 입에서 입으로 전해오면서 용비암 전설은 다른 형태로도 전해온다.

빨래터에 가서 용의 승천을 목격한 여인이 소리를 치지 않고, 용의 승천을 돕는 기도를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이야기에서는 여인의 기도 덕에 용은 무사히 승천의 꿈을 이뤘고, 하늘에 오른 용은 은혜를 갚기 위해 마을에 풍년이 들게 해준다는 것이다.

다시 세월이 지나면서 용비암은 현비암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됐다.

용의 보살핌을 받고 평안하게 살아가던 이 마을에서 세종대왕의 비인 소헌왕후가 태어났다.

마을 사람들은 왕비가 태어날 수 있도록 도와준 바위라 해서 처음에는 나타날 현(顯)자를 이용했다가 나중에는 어질 현(賢)으로 바꾸어 어진 왕비가 태어난 바위라고 하게 됐다.

현비암 뒤로 이어지는 보광산에는 소헌왕후의 선조인 청송심씨 시조의 묘가 있다.

소헌왕후 뒤에도 현비암의 기운은 마을에 계속 좋은 영향을 미쳐서, 명종의 비인 인순왕후, 경종의 비인 단의왕후까지 나왔다. 모두가 용의 덕이라고 마을 사람들은 생각했다.

보호수 13-13-12호인 청송 월막리 왕버들은 바로 이 현비암 맞은 편의 강변에서 현비암을 바라보며 서 있다.

얼핏 보아서는 한 그루의 나무처럼 보이지만, 두 그루의 나무가 바투 붙어서 자라다가 하나의 나무로 연리(連理)한 연리목이다.

두 그루의 나무가 한 몸을 이룬 연리목이나 연리지에는 대개 사랑에 얽힌 전설이 전하는데, 이 왕버들도 마찬가지다.

300년 전에 이 강가 마을에 살며 사랑을 나누던 남녀가 있었다.

그들은 늘 강변에서 만나 남몰래 사랑을 키우고 장래를 약속했다.

그러나 집안 간의 문제로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이승에서의 삶을 마쳤다.

그리고 얼마 뒤, 그들이 사랑을 나누던 자리에 젊은 청춘의 한을 상징하듯 두 그루의 왕버들이 바짝 붙어서 자라면서 마침내 한 그루의 연리목으로 자랐다는 이야기다.

애절한 사랑의 전설에 기대어 지금도 젊은 연인들이 이 왕버들을 찾아와 사랑을 확인하고 변치 않기를 기약하는 나무로 널리 알려졌다.

바짝 붙어서 자라는 두 그루의 나무가 종종 보이는 특별한 현상 가운데 청송 월막리 왕버들처럼 한데 붙어서 자라는 현상에는 세 가지가 있다.

뿌리가 붙으면 연리근, 줄기 부분이 붙으면 연리목, 가지가 만나면 연리지라고 한다.

청송 월막리 왕버들이 서 있는 자리에서 100m도 채 떨어지지 않은 곳에 왕버들에 담긴 애절한 한을 바라보듯 서 있는 한 그루의 느티나무가 있다.

200년쯤 된 이 나무도 보호수로 지정한 노거수다(보호수 지정 번호 11-15-1-1-1).

<청송 월막리 왕버들>

·보호수 지정 번호 13-13-12
·보호수 지정 일자 2013. 7. 11.
·나무 종류 왕버들
·나이 300년
·나무 높이 20m
·둘레 3.7m
·소재지 청송군 청송읍 월막리 484-1
·위도 36.433474, 경도 129.053587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