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판악화와 불매로 매출감소·경영진 사퇴요구·법적 리스크까지 감수해야
KCGS 보고서, ESG평가해 보니 국내기업 인권경영·공정거래 등 수준 낮아

[그래픽=뉴스퀘스트]
[그래픽=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자가 상대방에게 오만무례하게 행동하거나 이래라저래라 하며 제멋대로 구는 짓."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사전에 실린 '갑질'에 대한 정의이다.

최근 기업에서 다양한 형태의 갑질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의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매출하락으로 이어지고 법규위반 등의 비용도 발생하면서 상당한 경영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갑질을 단순히 오너나 경영진의 일탈로 치부해 버리지 말고 ESG(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의 관점으로 평가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보고서가 나와 주목을 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은 최근 발표한 '갑질문화로 인한 기업위험과 개선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강조했다. 

◇ 갑질의 등장과 확산...그 유형은

언론 등에서 갑질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3년부터다.

당시 국내 모기업 임원이 항공사 승무원에게 부당한 요구 및 폭행을 일으킨 일명 '라면 상무' 사건부터인데 이후 기업 총수일가와 일탈과 기업들이 하도급업체에 행하는 갑질 사건이 끊이지 않고 언론의 주요뉴스을 장식했다.

특히 2014년 조현아 대한항공 부사장의 이른바 '땅콩회항' 사건은 재판까지 이어지며 세간의 관심을 끌었고 이 사건을 계기로 갑질을 키워드로 한 언론 기사는 전년 보다 2배가량 늘었다.

이어 2018년에는 이명희 정석기업 고문과 조현민 한진칼 전무 등 한진그룹 총수일가의 갑질과 양진호 위디스크 회장의 직원 폭행 등이 이슈가 되면서 갑질에 대한 언론보도가 2014년 대비 7배 가량 증가했다.

갑질의 유형도 다양했는데 2013년 갑질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이후 대부분은 총수 일가와 경영진 등이 직원들에게 폭언이나 폭행 등을 일삼는 '오너형'으로 나타났다.

또 대기업의 하청업체에 대한 단가 후려치기와 기술탈취, 납품대금 미지급 등으로 발생한 갑질도 부각되기 시작했다.

프랜차이즈산업이 크게 성장하면서 가맹본부의 가맹점에 대한 갑질도 주목 받았고, 소비자가 매장 직원에게 무릎 꿇기를 강요하는 등의 일탈형 갑질도 나왔다.

과거에는 아무렇지도 않게 넘어갔던 기업 총수와 기업들의 갑질 사건은 최근 대부분 숨김없이 드러나고 있는 셈이다.

이는 모든 사람들이 사회관계망(SNS)으로 이어지고 언론들의 눈초리도 매섭게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료=한국기업지배구조원]
[자료=한국기업지배구조원]

◇ 기업이 갑질로 잃게 되는것들

갑질 사건 발생으로 문을 닫을 위기에 처하거나 막대한 비용을 치르는 등 치명적인 타격을 입는 기업들도 다수 등장하고 있다.

갑질 사건이 발생하게 되면 기업들은 불매 운동과 평판 악화로 인한 매출 감소, 경영진 사퇴요구, 법적 처벌을 감수해야 한다.

갑질로 치러야 하는 기업들의 리스크와 비용을 살펴보면 가장 큰 부분은 기업의 평판 악화다.

해외 사례를 보면 공유차량업체 우버는 최고경영자의 부적절한 언행과 기업 내부의 성희롱 등이 알려지면서 벌어진 '#DeleteUber(우버를지워라)' 캠페인으로 가입자 10만명이 탈퇴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국내에서도 남양유업은 지난 2013년 발생한 대리점 갑질로 인해 현재까지 '갑질기업'이라는 이미지로 무엇을 해도 몰매를 맞는 상황이다.

기업들이 갑질 스캔들 이후 사회공헌활동 등으로 아무리 만회하려고 해도 순수성과 진정성을 의심 받으며 회복하기 어렵다는 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이런 기업이미지는 기업구성원들의 사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근로의욕 감소로 생산성이 하락하는 것은 물론 우수한 인재들이 이탈하면서 회사에 손실을 입히게 되는 것이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갑질로 인한 행위로 인해 근로의욕을 상실한 경험이 있다는 근로자들의 응답이 67% 가량 나왔다.

이와 함께 법규 위반으로 인한 비용도 만만치 않다. 벌금 제재 등 직접적인 비용과 법적 소송 등으로 인한 간접비도 만만치 않다.

보고서 작성을 주도한 KCGS 김진성 팀장은 "ESG 평가를 통해 드러나는 국내 상장회사들의 인권경영 및 공정거래 관리현황은 그 수준이 높지 못하다"며 "특히 이와 관련해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는 경우는 확인되었으나 이를 이해관계자에게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ESG 관리를 통해 이해 관계자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키고 중장기적 기업가치를 제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료=한국기업지배구조원]
[자료=한국기업지배구조원]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