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출 많은 식료품 물가 오르며 체감물가 상승...주거·보건 부담도 커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저소득층의 물가 부담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 4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 [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보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속 물가 상승세가 거세진 가운데 저소득층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지출 비중이 높은 '밥상 물가' 등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고소득층보다 물가 부담이 커진 것. 이들을 위한 물가 안정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1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8~2019년과 이후인 2020~2021년의 체감물가 변화를 소득 분위별로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물가 상승을 더 크게 체감했다고 밝혔다.

체감물가는 말 그대로 일반 소비자가 실질적으로 느끼는 물가로, 경기 변동에 따른 소비 패턴의 변화를 반영한다. 해당 연도 및 분기의 품목별 지출 비중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집계된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체감물가 상승률은 ▲1분위 2.7% ▲2분위 2.4% ▲3분위 2.2% ▲4분위 2.1% ▲5분위 1.9% 순으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낮았다.

소득 하위 20%에 속하는 1분위 체감물가 상승률이 상위 20%인 5분위 체감물가 상승률의 1.4배에 달한 셈이다.

[한국경제연구원]

저소득층의 부담이 커지면서 빈익빈 우려가 커진 배경에는 '밥상 물가' 상승이 있다. 식료품 등 지출 비중이 큰 품목의 물가가 연달아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동월보다 3.7% 상승했다. 장바구니 가격을 중심으로 물가가 오르자 5개월 연속 3%대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 특히 소득 1분위는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1분위는 코로나19 전후로 주로 생필품 및 건강과 관련된 품목에 지출이 많았는데, 이 가운데 식료품·비주류 음료는 22.4%, 주거·수도·광열은 19.6%, 보건은 13.3%를 차지했다.

반면 5분위의 경우 교통(14.3%), 음식·숙박(13.3%), 식료품·비주류 음료(13.3%) 등 교통과 외식 지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1분위의 지출 비중이 5분위보다 높은 상위 3개 품목(주거·수도·광열, 식료품, 보건)의 물가는 평균 3.7% 상승했다.

5분위의 지출 비중이 1분위보다 높은 상위 3개 품목(교육, 교통, 음식·숙박)의 물가는 평균 0.7% 오르는 데 그쳤다. 저소득층의 물가 상승 부담이 고소득층보다 클 수밖에 없던 이유다.

때문에 저소득층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에 따른 물가 상승의 충격이 저소득층에 상대적으로 집중되고 있다"라며 "이들에 대한 일자리 기회 제공을 확대해 소득을 늘리는 한편, 농산물 수급 안정과 식료품 유통구조 효율화를 통해 가격 상승 폭을 최소화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