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계층별 출산율 분석결과, 소득 하위층(1.34가구)이 가장 낮아
저소득층 지원 중심 정책 필요... 가치관 변화를 가져오는 정책도

【뉴스퀘스트=남지연 기자】 지난 10년간 저소득층 가구일수록 출산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출산율 하락 폭도 저소득층 가구일 수록 더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적 과제로 떠오른 출산율 제고를 위해 저소득층 맞춤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통해 소득계층별 출산율 분석 결과 2019년 기준 100가구당 출산 가구 수는 소득 하위층이 1.34가구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이어 소득 중위층은 3.56가구, 소득 상위층은 5.78가구로 분석돼 상대적으로 소득 하위층의 출산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0년 대비 2019년 소득 계층별 100가구 당 출산 가구를 보면 소득 하위층은 2010년 2.72가구에서 2019년 1.34가구로 51.0% 감소했다.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소득 중위층은 6.50가구에서 3.56가구로 45.3%, 소득 상위층은 7.63가구에서 5.78가구로 24.2% 각각 줄었다.

소득이 적은 가구일수록 2010년 대비 2019년 출산 가구 수의 하락 폭이 더 큰 셈이다.

출산 가구의 소득 계층의 비중을 분석한 결과 상위층의 비중은 늘고 하위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하위층의 비중은 2010년 11.2%에서 2019년 8.5%로, 같은 기간 소득 중위층은 42.5%에서 37.0% 하락했다.

반면, 출산 가구 중 소득 상위층 비중은 2010년 46.3%에서 2019년 54.5.%로 17.6% 늘어났다.

한편, 연령, 학력, 거주지역, 거주 형태 등의 조건이 동일한 경우 소득계층이 높을수록 출산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하위층의 출산율은 100가구당 3.21가구, 소득 중위층은 5.31가구, 소득 상위층은 8.22가구로 집계됐다.

유진성 한경연 선임연구원은 “소득 하위층에서 출산율이 낮게 나타난다”며 “저소득층 지원 중심으로 출산 정책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또한, 유 연구원은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정책 방안도 필요하다”며 “가사나 육아가 여성의 전유물이 아니며 결혼과 출산의 중요성에 대해 사회적인 컨센서스(합의)를 가질 수 있도록 홍보와 교육을 강화해야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