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연말마다 진행…올해는 이자장사, 돈 잔치 논란에 난감한 입장
2022년 기준 5대 은행 평균 3억 5000만원대 형성
기존 인력 퇴직 후 신규 채용에 따른 선순환 구조 필요하다는 의견도

최근 정치권과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상생금융' 압박을 넣으면서 다음 달로 예정된 희망퇴직 신청 접수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현금인출기 모습. [사진=연합뉴스]
최근 정치권과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상생금융' 압박을 넣으면서 다음 달로 예정된 희망퇴직 신청 접수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 현금인출기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국내 은행들은 연말마다 희망퇴직 신청을 받은 후 해당 직원의 근속 연수, 연봉 등을 고려한 액수를 지급해오고 있다.

최근 금융당국이 국민과의 눈높이를 맞춘 ‘상생금융’을 당부하면서 은행권이 다음 달로 예정된 희망퇴직 절차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은행권에 따르면 희망퇴직은 12월 신청자 접수를 받은 후 요건에 따라 최종 인사 조치가 마무리된다.

이달 초 은행연합회가 공개한 ‘은행 경영현황 공개 보고서’를 보면 KB국민은행·NH농협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하나은행(가나다 순) 등 5대 은행은 지난해 모두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그 결과, 5대 은행에서만 2357명이 희망퇴직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도 점점 낮아지면서 일부 은행에서는 40대 초반 희망퇴직자도 나왔다.

5대 은행의 1인당 희망 퇴직금 지급액 평균 규모는 3억 5548만원으로 조사됐다.

은행별 지급액수를 보면 하나은행이 4억 794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KB국민은행(3억 7600만원) 우리은행(3억 7236만원), NH농협은행(3억 2712만원), 신한은행(2억 9396만원) 순이었다.

은행권 관계자는 “노조 간 협의에 따라 희망 퇴직금을 책정하고 있다”며 “대부분의 은행이 호봉제이기 때문에 근속연수가 길수록 지급액이 많게 된다”고 설명했다.

매년 ‘관행’처럼 이뤄지던 희망퇴직 접수가 올해 들어 부담이 되고 있는 이유는 정치권과 금융당국의 압박 때문이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권 고위 관계자들은 사상 최대의 실적을 올리고 있는 은행들에 대해 거침없이 쓴 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 20일 금융지주 회장단을 만난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금융권의 역대급 이자수익 증대는 국민 입장에서는 역대급 부담 증대를 의미한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금융기업들이 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최대한의 범위에서 금리 부담을 일정 수준 직접 낮춰줄 수 있는 방식으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은행권은 억대 금액을 지불하는 희망퇴직 신청 접수에 눈치 싸움을 벌이고 있다.

아무리 ‘우수한’ 상생금융 프로그램을 내놓아도 희망퇴직과 관련한 소식이 알려질 경우 돈 잔치 논란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매년 진행됐던 절차이기 때문에 5대 은행 모두 다음 달 희망퇴직 접수는 진행될 것”이라며 “사회적 비판 여론이 따가워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희망퇴직이 ▲고령자 퇴직 ▲신규인용 채용 ▲디지털 금융 전환 등의 순기능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높은 연봉을 받는 인력이 본인의 의사로 퇴직 절차를 밟고, 청년 일자리 창출에 희망퇴직이 큰 도움을 주고 있다는 이야기다.

특히 디지털 금융이 활성화되면서 은행권은 과거보다 IT 관련 분야 전문가 채용에 대한 관심을 점점 더 높이고 있는 추세다.

은행권 관계자는 “희망퇴직이 ‘억대 금액 지불’이라는 이유로 돈 잔치로만 볼 사안은 아니다”라며 “은행 입장에서는 인건비를 아낄 수 있고, 사회적으로는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