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퀘스트=박민수 기자]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2%대는 커녕 1%대에 이를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 정부와 한은이 몇차례 수정해 제시한 전망치는 각각 2.4~2.5%, 2.2%다.

그러나 이마저도 희망 사항으로 끝날 가능성이 곳곳에서 감지된다.

문제는 지난해 2.9%에서 시작된 성장률 전망치가 너무 가파르게 무너져 내리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또다시 하향 조정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미·중 무역갈등, 일본 수출규제, 홍콩 시위에 대한 중국의 무력진압 등으로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됐다는 판단에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현재 자유한국당 의원 질의에 대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2.4%를 제시했는데, 글로벌 경제 여건이 바뀌면서 2.4% (목표) 달성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기재부는 지난달 3일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2.4~2.5%로 제시했다.

이는 당초 전망한 2.6~2.7% 성장률보다 0.2%포인트 낮춘 것이다.

이후 국내외 기관들은 성장률 전망치를 추가 하향조정했다.

최정표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등 국내 연구기관장들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0~2.2%로 제시했다.

해외 기관에서는 1%대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에 홍 부총리는 “대외 여건이 어렵다 보니 수출 증가율이 떨어졌다. 세계 경제성장률과 교역 증가율이 떨어지면서 성장률이 하향 조정됐다”며 “국내 투자가 부진해지면서 국내 경기가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글로벌 경제 둔화가 예상보다 빠르고 일본 수출규제로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다”며 “(리스크 대응에) 가용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경제가 어렵고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며 “소비·관광 내수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9월 초에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한은의 최신 발표치보다 더 낮게 보고 있다.

블룸버그가 최근 43개 투자은행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 평균값은 2.1%였다.

설문에 응한 투자은행 중엔 전망치를 1.4%로 제시한 곳도 있었다.

모건스탠리와 노무라는 나란히 1.8% 성장을 점쳤다.

한편 신한금융투자도 이날 중국 정부가 홍콩 시위를 무력 진압할 경우 서방의 중국 경제 제재로 번지면 우리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해 성장률 전망치 하락에 힘을 보탰다.

김찬희 연구원은 "홍콩 시위대와 중국 정부가 대치를 이어가는 가운데 최악의 경우 중국의 무력 개입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국의 대(對) 홍콩 수출은 전체 수출의 7.6%를 차지하고 이중 약 90%가 중국으로 재수출된다"며 "중국 무력 개입으로 홍콩을 통한 우회 수출이 차단되면 단기적 수출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예상했다.

한국투자증권도 이날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당분간 더욱 격화할 것이라며 "시진핑 주석이 홍콩 시위, 무역전쟁 등 어지러운 시국에 중국의 서북부 빈곤지역을 시찰한 것을 보면 현재 중국의 지도부는 화해나 협상보다 자기가 해야 할 일에 집중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한투는 "당분간 양국 간 충돌은 더욱 격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은 곧 미국에 대응한 블랙리스트를 발표하고 추가 위안화 절하를 유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도 '벼랑 끝에 선 미중: 최악의 경우 중국과 단절을 엄포' 보고서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가 관세에 이어 사실상 중국과 경제 단절을 의미하는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 발동을 거론했고 중국도 강경한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연구원은 "양국의 강경한 의지를 고려하면 최악의 경우 내년 미국 대선 전까지 양국의 협상이 '노 딜' 상태를 유지할 공산이 높아졌다"며 "이 경우 미국 경제가 내년 초 이후 경기침체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