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취급액·잔액 기준 COFIX  석 달 연속 올라
사상 최대 한·미 기준금리 격차 영향에 추가 상승 가능성↑
전세자금대출 포함한 7월 주택담보대출 잔액 512조원 넘겨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조금씩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하반기 대출원금과 이자 상환에 대한 부담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조금씩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하반기 대출원금과 이자 상환에 대한 부담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주요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조금씩 오르면서 7%대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뿐 아니라 전체 주택담보대출 잔액도 계속 늘고 있어 금융시장 혼란을 막기 위한 자금 유동성 확보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4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신규취급액기준, 잔액기준 COFIX(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 모두 4월부터 6월까지 상승했다.

먼저 신규취급액기준 코픽스 현황을 보면 ▲4월 3.44% ▲5월 3.56% ▲6월 3.70%인 것으로 집계됐다.

잔액기준 코픽스의 경우 ▲4월 3.73% ▲5월 3.76% ▲6월 3.80%로 신규취급액기준과 마찬가지로 석 달 연속 상승했다.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를 뜻하는 코픽스는 은행 예·적금, 은행채 등 각종 상품의 금리 변동에 반영된다.

코픽스가 오르게 되면 그만큼 은행이 높은 비용을 들여 자금을 확보하게 되고, 떨어지면 그 반대의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그 결과,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이날 신규 코픽스 기준으로 봤을 때 4.08~6.937%로 최대 7%에 근접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주담대 변동금리 기준인 코픽스가 두 달 연속 오른 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한 달 사이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대부분 상승했다.

5월과 6월 사이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 신규 취급액 기준 은행별 금리를 보면 KB국민은행(4.25%→4.44%), NH농협은행(4.27%→4.37%), 신한은행(4.62%→4.79%), 우리은행(4.27%→4.34%), 하나은행(4.38%→4.31%)였다.

하나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은행들은 모두 소폭 금리가 올랐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다.

문제는 금리뿐 아니라 전체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늘고 있고, 사상 최대 한·미 기준금리 격차로 인해 추가 대출금리 상승이 예상된다는 부분이다.

7월 말 기준 5대 은행의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512조 8875억원으로 한달 전보다 1조 4868억원 증가했다.

올해 6월(+1조 7245억원)보다는 증가 규모가 작았지만, 5월(+6935억원)보다는 두 배 이상 많았다.

또 지난달 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연준은 이번 인상 배경에 대해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근거로 들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단기간의 사회적 비용보다 인플레이션 통제 실패에 따른 장기적 사회적 비용이 훨씬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목표치인 2%를 향해 내려간다고 확신할 때까지 정책을 계속 긴축적으로 유지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그 결과,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사상 최대인 2%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한·미 기준 기준금리 격차를 줄이기 위해 한국은행이 이달 말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꺼내들 가능성도 있지만 그마져도 쉬운 상황은 아니다.

서민 경제를 위협하는 국내 주택담보대출 현황을 비롯해 최근 ‘철근 누락 아파트’ 문제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까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이러한 대내외적인 각종 지표와 불안 요소를 고려해 통화정책을 운영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해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를 통해 “아직 미국 연준이 금리를 몇 번 올릴지 불확실성이 크고, 여기에 따라 우리 외환시장도 어떻게 변할지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계부채는 부동산 시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단기적으로 급격히 조정하려고 하면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며 “부동산PF 문제, 역전세난, 새마을금고 사태 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