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개선, 배당 확대 등 각종 주주제안 전달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후 목소리 더욱 높아져
정부 정책 기조에 발맞춰 주주환원 정책에 대한 요구 커질 듯

주주환원 정책 강화 내용을 담음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후 행동주의 펀드들이 주주총회 시즌을 맞아 상장기업들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주주환원 정책 강화 내용을 담음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후 행동주의 펀드들이 주주총회 시즌을 맞아 상장기업들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3월 주주총회 시즌이 시작되면서 행동주의 펀드들이 기업 지배구조 개선, 배당 확대 등 다양한 안건을 제시하면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정부가 발표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목표 중 하나가 주주환원 정책 강화라는 점도 행동주의 펀드의 활동에 힘을 보태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달 중 주요 상장기업들이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임원 인사·주주환원 정책 등 여러 가지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행동주의 펀드들은 지난해 말부터 기업 지배구조 개선, 주주환원 정책 강화를 요구해왔는데 최근 들어 목소리를 더욱 높이고 있다.

이날 차파트너스자산운용은 ‘금호석유 주주제안 프레젠테이션 기자간담회’를 개최해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자기주식 소각 관련 정관 변경 ▲자기주식 소각의 건 등 이번 주주제안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했다.

차파트너스는 금호석유화학의 개인 최대주주인 박철완 전 상무로부터 권리를 위임받아 주주제안에 나서고 있다. 

차파트너스는 금호석유화학이 자사주 18.4%를 전량 소각하고, 사외이사로 김경호 KB금융 이사회 의장을 임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김형균 차파트너스운용 본부장은 “자사주 소각은 주주가치를 높이고,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를 해소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손쉬운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금호석유화학이 자사주를 소각하면 추가 재원의 지출 없이 주주가치를 즉시 높일 수 있다”며  “앞으로도 지배주주만이 아닌 전체 주주의 주주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외국 펀드를 비롯한 다수의 행동주의 펀드가 같은 편에 서서 기업을 압박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이날 영국 자산운용사 팰리서캐피탈은 오는 15일 삼성물산 정기주주총회에서 행동주의 펀드들이 제출한 주주제안에 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안다자산운용, 시티오브런던인베스트먼트, 화이트박스어드바이저스 등이 삼성물산 측에 지난해 사업연도 배당금 인상, 올해 5000억원 규모 자기주식 취득을 주주제안으로 제출한 것에 대해 힘을 실어주기로 했다.

팰리서캐피탈은 “이번 정기주주 총회에 대한 이사회의 제안과 권고안에서 삼성물산이 충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증거를 거의 찾을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과 같은 실망스러운 방식의 무대응은 주주제안을 확고하게 지지하고 찬성하도록 결정한 계기로 작용했다”고 단언했다.

또 플래쉬라이트 캐피탈 파트너스(FCP)는 최근 KT&G가 방경만 수석부사장을 차기 대표이사 사장 후보로 내정한 점에 대해 강력히 반발했다.

FCP는 국민연금에 의결권 행사로 대표 선임 과정에 적극 개입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내면서 이상현 FCP 대표를 KT&G 사외이사 후보로 올리는 주주제안까지 진행한 상태다. 

여기에 추가로 KT&G 전현직 이사들이 자사주를 주주가치를 높이는데 활용하는 것보다 재단·기금에 무상 증여해 회사 측에 1조원대 손해를 끼쳤다는 명목으로 주주대표 소송까지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주환원 기준에 미달한 기업의 주총 안건에 대해 반대의사를 행사하는 ‘의결권 행사 세부 기준’을 마련한 곳도 있다.

KCGI자산운용은 피투자회사의 주가순자산비율(PBR)·자기자본이익율(ROE)·주주환원율 등이 내부 기준에 미달할 경우 ▲이사의 선임 ▲재무제표 승인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등에 대해 반대의견 행사를 원칙으로 할 방침이다.

이처럼 최근 행동주의 펀드들의 ‘입김’이 더욱 강해진 원인에 대해 증권업계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주주환원 정책 등을 기업 자율에 맡기면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있지만, 정부의 목적 자체가 주주환원 정책 강화에 있다는 점은 분명히 제시됐다는 것이다.

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명확한 인센티브와 페널티의 부재’였지만, 기대감을 완전히 버리는 것은 아직 리스크가 너무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상장 기업도 일정 기준에 미달할 경우 거래소 퇴출이 적극적으로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고 발언한 후 조정을 받았던 저PBR 기업들의 반등이 시작됐다는 점이 바로 근거”라고 지목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