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강국 입지와 지속가능 발전을 위해...삼성·SK, 산업부와 대책마련 착수

[그래픽=뉴스퀘스트]
[그래픽=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최인호 기자]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로 국내 반도체 업계가 비상이 걸린 가운데 반도체 강국으로서의 입지와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해서는 핵심 소재의 국산화 필요성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된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오는 4일부터 스마트폰과 TV에 사용되는 반도체 제조과정에 필요한 포토레지스트(감광액),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3개 품목에 대해 수출을 규제키로 했다.

이에 따라 이들 소재를 생산하는 일본 기업이 한국에 수출하려면 매번 정부 허가를 받아야 하며 3개 품목과 관련된 제조기술을 이전하거나 제조설비 수출에도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일본이 수출규제에 나선 이들 3개 품목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70~9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동안 일본 정부는 한국에 대해서는 절차 간소화 차원에서 포괄허가를 인정해 왔지만 이번에 대상에서 제외키로 했다.

반도체 제조의 핵심 원재료인 에칭가스와 포토레지스트의 고성능 제품은 대부분 일본이 생산하고 있다.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국내 업체도 에칭가스 생산은 가능하지만 일본산에 비해 순도가 떨어져 완제품의 품질이나 수율에 문제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대다수 반도체 생산설비가 일본산 소재 사용에 최적화 돼 있어 설령 대체재를 확보한다고 해도 설비 세팅을 다시 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감광액인 포토레지스트는 반도체 웨이퍼 위의 실리콘에 미세한 패턴을 그리는 데 쓰이는 물질로 미세 공정에는 역시 기술력이 뛰어난 일본산을 주로 쓴다.

또 플루오린 폴리이미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들어가는 투명 폴리이미드의 재료로 만일 투명 폴리이미드도 수출 규제에 포함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최신 모바일 기기의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삼성전자]
[사진=삼성전자]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에칭가스나 포토레지스트 같은 반도체 Fab 소재는 그동안 국산화 시도를 꾸준히 해 왔지만 품질과 수율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며 “라인을 한번 중단하고 평가하는 행위자체가 엄청난 로스이기 때문에 사용하던 소재를 그대로 편하게 쓰는 게 불량 났을 때 원인 찾기도 용이해 쉽게 바꾸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즉 국산화를 통해 100억원의 비용을 절감한다고 해도 불량 한번 나서 수천억원 적자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리스크를 감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이 계속 수출을 규제할 경우 일본산 소재를 사용하고 싶어도 사용할 수 없게 돼 국내 반도체 생산 업체로서는 아예 생산이 중단될 수도 있다는 위기감 때문에 국산화 움직임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 노광 공정에 쓰이는 감광재 '포토리지스트'는 일본의 신에츠, JSR, 스미토모, 호체스트 등에 90% 가까이 의존하고 있고 식각과 세정 작업에 사용되는 고순도 불화수소도 일본이 글로벌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일부 국내업체들이 이들 소재들을 생산하고 있지만 존재감이 미미하거나 일본과 합작형태로 생산하고 있어 글로벌 1, 2위인 삼성과 SK에 물량을 공급하기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그러나 이번 일본의 제재로 반도체 소재 국산화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해지면서 국내 반도체 소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반도체 양대 산맥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일본의 수출 규제를 계기로 핵심 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내부는 물론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