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적 요인 해소로 9월보다 예금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커져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도 늘어…정부 규제 효과 아직 ‘미비’
금융위 “윤석열 정부 들어 연간 가계 부채 증가율 0% 수준”

한국은행이 8일 공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086조 6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 8000억원 증가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최근 가계부채 관련 주요 이슈 Q&A’를 통해 과거보다 가계부채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8일 공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086조 6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 8000억원 증가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최근 가계부채 관련 주요 이슈 Q&A’를 통해 과거보다 가계부채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10월 은행권 가계대출이 9월보다 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 증가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는 비판에 대해 금융위원회는 “과거 어느 시기와 비교해도 가계부채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8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086조 6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 8000억원 증가했다.

올해 들어 은행권 가계대출은 4월부터 7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8월 6조 9000억원에서 9월 4조 8000억원으로 증가폭이 줄었지만, 10월에 다시 증가폭이 커졌다. 

10월 가계대출 중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839조 6000억원)은 5조 8000억원이 늘면서 감소폭 대부분을 자치했다.

윤옥자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10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9월보다 확대된 이유는 추석 상여금 유입 효과, 분기별 부실 채권 상·매각 등 계절적 요인이 9월에 작용한 뒤 10월에 해소된 영향 때문”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한 원인은 정부가 규제를 강화하기 이전에 신청한 대출들이 실행되고 있어 아직 가시적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더불어 시중 금리 상승, 추석 연휴 이후의 주택매매거래 둔화 등이 약 2~3달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감지됐다.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10월 6조 3000억원 늘어났다.

앞서 살펴봤듯이 은행권 가계대출이 10월 한 달 동안 6조 8000억원 늘어나 9월(+4조 8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커진 반면에 제2금융권에서는 5000억원 감소했다. 

다만, 제2금융권에서도 9월(-2조 5000억원)보다는 감소폭이 줄었다.

또 예금은행의 10월 기업 대출 잔액(1246조 4000억원)은 한 달 사이 8조 1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4조 3000억원, 3조 8000억원(개인사업자 5000억원 포함) 늘어났다.

한국은행은 대기업 대출의 경우 회사채 등 기존 직접금융조달 기업의 대출 활용, 기업 운전자금 수요 등으로 지난 9월(+4조 9000억원)에 이어 또 다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수신(예금) 잔액은 2280조 4000억원으로 9월 말보다 3조원 감소했다.

수시입출식예금은 부가가치세·법인세 납부,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유입됐던 법인자금 인출 등으로 24조 5000억원 줄었다.

정기예금의 경우 예금금리 상승, 은행의 법인자금 유치 노력 등에 힘입어 10조 2000억원 증가했다.

이러한 통계 결과에 대해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는 이날 ‘최근 가계부채 관련 주요 이슈 Q&A’를 통해 적극적인 방어에 나섰다.

금융위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2022년 2분기~2023년 2분기) 이후 가계부채 총량이 감소했다”며 “연간 가계부채 증가율도 0%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과거 10년 연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은 6.6%에 달했지만, 현 정부에서는 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게 금융위의 설명이다.

또 해외 주요국들의 통계 자료와 비교해도 현 정부 들어 주택시장 안정,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안착 등으로 인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하락하고 있다고 전했다.

금융위는 최근 가계부채 증가세가 연초 대출규제 완화와 특례보금자리론 공급에서 비롯됐다는 비판 역시 반박했다.

금융위는 “주택가게 급등기에 도입된 과도한 규제를 시장 상황에 맞게 정상화했지만, 2017년 이전보다 여전히 엄격한 수준”이라며 “특례보금자리론도 유사한 대책이 있었던 시기와 비교해 공급 규모가 크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최근 소상공인·서민층 지원 강화와 가계부채 관리 강화 정책이 서로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답했다.

금융위는 “취약계층에 꼭 필요한 지금 지원을 하더라도 민간의 고금리 자금을 대체하는 효과 등을 감안할 때 가계부채 총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