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개 은행, 당기순이익 대비 사회공헌금액 비율 –1.26∼13.59%
제주은행·NH농협은행, 은행권 중 사회공헌비율 높아
카카오뱅크·케이뱅크 등 인터넷은행, 사회공헌비율 저조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취약계층 지원 방안 등 사회적 책임 이행할 것”

은행권이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은행권을 향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13일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은행에 대해 이른바 돈잔치라는 국민들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금융위원회에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은행권이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은행권을 향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13일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은행에 대해 이른바 돈잔치라는 국민들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금융위원회에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남지연 기자】 은행권이 지난해 급격한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이익 확대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연일 ‘이자 장사’, ‘돈 잔치’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은행권의 당기순이익 대비 사회공헌률은 저조해 따가운 눈총이 더욱 짙어지는 가운데 은행권은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해 취약차주 지원과 사회공헌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국민의힘)이 은행연합회 사회공헌활동 보고서, 금융감독원 공시 실적 등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19개 은행의 2021년 당기순이익 대비 사회공헌금액 비율은 –1.26~13.59%에 달했다.

적자(-7960억원)인 씨티은행을 제외하고 2021년 흑자를 낸 18개 은행 가운데 사회공헌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은행(13.59%)이었다.

최저 은행은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0.15%)였다. 또 다른 인터넷은행 케이뱅크도 0.31%에 머물렀다.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 중에서는 NH농협은행(12.26)이 가장 높았다. 이어 신한은행(6.74%)·KB국민은행(6.32%)·우리은행(6.29%)·하나은행(5.71%)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은행권의 사회공헌금액은 2년째 내림세를 이어갔다.

은행·보증기금 등 은행연합회 소속 회원기관과 은행연합회는 지난해 사회공헌 사업에 모두 1조617억원을 지원했다.

지원액은 3년 연속 1조원대였으나, 2006년 보고서 발간 이래 가장 많았던 2019년(1조1300억원)보다 적고, 2020년(1조919억원)과 비교해도 약 300억원 감소한 수준이다.

앞서 주요 시중은행은 지난해 금리 인상에 따라 30조원이 넘는 이자이익을 거둬들이며 역대급 실적을 기록해 ‘이자장사’라는 비판이 대두된 바 있다.

지난해 4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의 이자이익은 약 32조450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27조905억원) 대비 19.78%가량 오른 수준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총 12조130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둬들이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전년도(10조316억원)에 비해 20.9% 증가한 수치다.

이 가운데 지난해 5대 시중은행 임직원에게 지급된 성과급이 1조3000억원으로 전해지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고금리·고물가·경제둔화 등으로 어려운 민생을 외면하고 성과급 잔치를 벌인다는 측면에서다.

은행권은 향후 취약차주 지원 등 은행권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은행권은 이날 회의를 통해 향후 3년간 취약계층 등 경제적으로 소외될 수 있는 금융소비자를 위해 10조원을 추가로 공급하기로 했다.

세부적으로는 저소득·저신용자 등 대상으로 3조원, 경제적으로 소외될 수 있는 중소기업에게 3조원을, 서민금융에 약 4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은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복현 금감원장의 ‘은행의 생색내기식 지원’이라는 지적에 대해 “은행권이 진실성을 얼마나 가지고 임했는지 등의 차원에서 반성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같은 비판에 대해 “기본적으로 소비자 보호하는 것은 어느 정도는 기본적으로 가져야겠다 등을 은행권 자체적으로도 한번 다시 생각해 보는 그런 계기로 삼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