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현대차·포스코홀딩스 등 자사주 소각·배당확대 관심
고려아연·KT&G·금호석화·한미약품, 경영권 분쟁…표대결 결과 관심 UP

한 기업의 임시주총장에 입장하는 주주들. [자료사진=연합뉴스]
한 기업의 임시주총장에 입장하는 주주들. [자료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주주총회 시즌에 접어들면서 기업들의 주주환원 정책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아울러 주주환원 정책과 경영권 문제를 둘러싸고 표 대결을 벌이는 곳도 적지 않아 그 결과도 주목된다. 

18일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삼성전자(20일), 현대차·포스코(POSCO)홀딩스(21일) 등 약 2000여개 주요 상장사들의 주주 총회가 3월 마지막 주까지 잇따라 열린다.

이번 주에는 상장법인 371개사가 주총을 개최한다.

◇주주환원 정책에 따라 주가 부침 달라질 듯

주요 상장사들의 최대 안건 중 하나는 배당확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저평가 받아 온 주가를 제고하기 위해 배당을 늘리거나 자사주를 소각하는 방식으로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5일 주총을 개최한 삼성물산의 경우 주주환원 요구 안건이 부결되며 하루 만에 주가가 9.78% 빠졌다. 이날도 2% 가까운 약세다. 

반면 CJ는 자회사 실적 개선과 기업공개(IPO) 철회 가능성에 상장으로 인한 더블카운팅(기업가치 중복) 문제가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로 지난 15일 13.99% 급등했고 이날도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20일 주총이 집중된 삼성그룹 계열사의 주총도 실적개선 및 주주환원 정책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릴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삼성SDI·삼성SDS·삼성전기·삼성카드 등 도 주총을 연다. 

21일 주총을 여는 현대차는 지난해 역대 최대의 실적 달성에 따라 배당률을 높인다. 현대자동차는 자사주를 3년 동안 1%씩 소각함과 동시에 2023년 기말 배당금을 역대 최대인 주당 8400원으로 정하고 분기 배당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안을 내놓았다.

KB·하나·우리금융지주는 오는 22일, 신한금융지주는 26일 주총을 개최하는 데 관심사안은 역시 주주환원 정책이다. 

앞서 KB금융은 지난해 결산배당으로 주당 153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고 이를 주총에서 승인받을 예정이다. 중간배당을 포함하면 연간 배당금은 3060원이다.

◇고려아연·KT&G·금호석화·한미약품, 경영권 분쟁 등 표대결 예고 

동업자 가문인 고려아연 최씨 일가와 영풍 장씨 일가 간의 경영권 분쟁이 이어지고 있는 고려아연의 주총은 19일이다. 고려아연은 1주당 5000원의 결산 배당을 주총 의안으로 상정한 가운데 최대 주주인 영풍은 예년과 같은 1만원의 결산 배당을 요구하고 있어 표 대결이 불가피하다.

양측은 신주 발행 대상을 외국 합작법인으로 제한하는 현 정관 삭제 안건을 놓고서도 맞붙고 있다. 고려아연은 상법상 표준 정관에 맞추기 위해 변경이 필요하다고 하고 있지만, 영풍은 기존 주주 지분 가치가 약해질 수 있다고 반대하고 있다. 양측의 우호 지분이 비슷한 가운데 8.71%의 지분을 보유한 국민연금의 선택이 중요하다.

KT&G도 치열한 갈등이 예상된다. 방경만 수석부사장의 대표이사 선임에 대해 지분율 6.93%의 최대 주주인 IBK기업은행이 반대 의사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 글로벌 1위 의결권 자문사로 외국인 투자자에 영향이 큰 ISS 역시 방 사장 후보 선임에 반대를 권고해 28일 열리는 주총에서 치열한 공방전이 예상된다. 

금호석유화학의 주총도 표대결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주주인 행동주의 펀드 차파트너스자산운용이 회사에 자사주를 100% 모두 소각하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금호석화는 자사주 50% 분할 소각안을 제시하고 있다. 국민연금(지분율 9.29%)이 누구의 손을 들어줄지 관심사다. 

한미약품그룹도 오너가 내에서 모녀(송영숙·임주현)와 형제(임종윤·종훈)간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오는 28일 열리는 한미사이언스 주총에 양측 모두 대규모 이사 선임 안건을 들고나오면서 첨예한 표 갈등이 예고된 상태다.

증권 전문가들은 "정부의 기업 밸류업 정책 추진으로 투자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주주가치 제고를 요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며 "기관, 특히 국민연금의 지분율이 높고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기업들이 주주가치 제고를 강하게 요구받을 수 있는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