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대장암 1차 검진으로 대장내시경 도입방안 검토
현행 1차 대변검사 후 이상 소견 때 2차 내시경 검사
대변검사 정확도 70∼80%...전문의들 부정적 인식도

염증성 장질환 환자가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연합뉴스]
염증성 장질환 환자가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연합뉴스]

【뉴스퀘스트=민기홍 기자 】 대장내시경 검사는 대장암 전 단계인 용종을 발견하고 제거해 대장암을 예방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검사 방법으로 평가 받는다.

대장암은 국내 암 발생률 2∼3위에 오를 정도로 많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국가 대장암 검진사업에서 대장내시경 검사를 기본 검사항목으로 채택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현재는 1차 분변잠혈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나온 경우에만 2차로 내시경 검사를 한다.

9일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건강보험 당국은 국가 대장암 1차 검진 방법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2023∼2025년 3년간 대장내시경 검사의 대장암 검진 효과와 위해(출혈, 천공 등) 가능성, 소요 재정 등 도입 근거와 타당성을 평가한 뒤 이르면 2026년부터 대장내시경을 국가 대장암 검진 1차 항목에 두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대장암 조기 진단과 치료를 위해 만 50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무료 국가 대장암 검진을 하고 있다. 매년 대변에 잠혈(피)이 묻어나오는지를 살피는 분변잠혈검사(대변검사)를 1차로 시행해 양성 등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2차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도록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분변잠혈검사가 정확한 대장암 진단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의료계에서도 분변잠혈검사로 대장암을 가려내는 정확도에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전문의들이 많다. 분변잠혈검사는 70∼80%가량의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장암은 가족력 등 유전적 요인과 고열량·고지방 식생활, 붉은 육류 및 가공육 과다 섭취, 신체 활동 부족, 염증성 장 질환 등 환경적 요인으로 발병한다.

대부분의 대장암은 양성 종양인 선종성 용종이 3~10년에 걸쳐 악성 종양으로 진행돼 발생한다.

초기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병증이 진행되면서 배변 습관의 변화, 가는 변, 혈변, 만성적인 출혈에 따른 빈혈, 잔변감, 장폐색에 따른 복통,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가장 흔한 증상은 혈변이다. 따라서 50세 이상, 또는 가족력이 있는 40대는 혈변 증상이 나타난 경우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게 바람직하다.

또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고 이상 소견이 없다면 이후 4년 동안은 대장암 검진을 받지 않아도 된다. 분변잠혈검사에서 양성이 나와도 전부 대장암인 것은 아니지만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병변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전문의들은 조언한다.

고령화와 식습관 영향으로 60∼70대 환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대장내시경 검사가 국가 대장암 검진 1차 항목에 채택될 경우 대장암 발병률을 크게 줄이는 것은 물론 건보 재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