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을 찾는 횟수는 많지만 수분 효과는 낮아
토종에 비해 꿀벌 수분 식물… 씨앗 절반 정도, 꽃의 수도 적어

【뉴스퀘스트=김형근 과학전문 기자】 꿀벌이 최고의 꽃가루 매개 곤충은 아니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생태학자들은 꿀벌들이 말벌, 나비, 나방들과 같은 토종 꽃가루 매개자들만큼 꽃의 수분을 잘 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학술지 ‘왕립학회 회보 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최근호에 게재된 논문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최근 급감하고 있는 꿀벌에 대한 새로운 대책 마련에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꿀벌이 최고의 꽃가루 매개 곤충은 아니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생태학자들은 꿀벌들이 말벌, 나비, 나방들과 같은 토종 꽃가루 매개자들 만큼 꽃의 수분을 잘 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사진=UC Berkeley]UC Berkeley
꿀벌이 최고의 꽃가루 매개 곤충은 아니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생태학자들은 꿀벌들이 말벌, 나비, 나방들과 같은 토종 꽃가루 매개자들 만큼 꽃의 수분을 잘 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사진=UC Berkeley]UC Berkeley

말벌과 나비 등 토종 매개자들이 더 효과적

이 대학의 딜런 트래비스(Dillon Travis)와 조슈아 콘(Joshua Kohn) 연구원은 야생에서 수분 된 꽃의 샘플을 수집한 다음 다른 종류의 매개자들에 의해 수분 되었을 때와 비교해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를 검토했다.

꿀벌은 미국이 원산지가 아니다. 원래 꿀벌은 아프리카와 유라시아가 원산지이다. 꿀벌은 17세기경에 북아메리카로 수입된 후 번창했다.

그러나 최근 꿀벌군집붕괴현상(CCD: colony collapse disorder)으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과일 재배 산업에 커다란 부담을 주고 있다.

CCD는 수백만 마리의 꿀벌이 집단 폐사하는 현상을 말한다. 꿀과 꽃가루를 채집하러 나간 일벌 무리가 돌아오지 않아서, 벌집에 남은 여왕벌과 애벌레가 떼로 죽는 경우다.

전 세계적으로 2000년대 중반부터 보고된 현상으로 한국에서는 2022년 봄 처음으로 발생했다. 군집붕괴현상에서 '군'은 여왕벌 한 마리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꿀벌 집단의 단위를 이른다.

꿀벌의 이러한 대붕괴 현상은 2006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됐으며 이후 유럽 일부와 브라질을 거쳐 아시아, 아프리카에서도 목격됐다.

CCD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기생충, 바이러스, 농약, 기상 악화, 휴대전화의 전자파, 살충제, 그리고 이스라엘급성마비바이러스(IAPV) 등이 이유로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꿀벌의 실종이 문제가 되는 것은 꿀벌이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꿀벌은 꽃의 수술에서 꽃가루를 묻혀 암술로 옮겨 열매를 맺도록 해주는 대부분의 역할을 담당한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작물 가운데 63%가 꿀벌의 꽃가루받이에 의해 열매를 맺는다. 특히 아몬드는 꿀벌 없이는 농사 자체가 불가능하고, 사과와 블루베리도 꿀벌 의존도가 90%에 이른다.

토종에 비해 꿀벌 수분 식물… 씨앗 절반정도, 꽃의 수도 적어

연구원들은 이 새로운 도전에서 꿀벌들이 다른 벌 종, 나비, 그리고 나방과 같은 전통적인 토종 수분자들과 비교하여 수분 작용을 얼마나 잘 하는지 파악하려고 했다.

연구팀은 샌디에고 지역의 현장에서 꽃가루 매개자들이 주변의 꽃들을 수분 시키는 것을 직접 관찰했다.

그들은 꽃가루 매개자 유형 간의 능력을 공정하게 비교하기 위해, 연구를 단지 세 가지 종류의 꽃으로 제한했다. 화이트 세이지(white sage), 블랙 세이지(black sage), 그리고 파셀리아 디스탄(Phacelia distans)으로 국한했다.

연구팀은 꽃가루 매개자들이 방문해 수분을 시킨 식물로부터 씨앗을 수집했다. 그리고 연구실에서 그것들을 다시 검사했다.

그들은 또한 이러한 씨앗들이 얼마나 잘 자라는지 보기 위해 수분 된 많은 식물들을 심었다. 그리고 통제 역할을 하기 위해 꽃들 중 일부를 수분 시켰다.

트래비스와 콘은 꿀벌이 연구 대상 지역에서 단연코 가장 빈번하게 많은 꽃가루 매개자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꿀벌에 의해 수분 되는 화이트 세이지와 파셀리아 디스탄의 경우 토종 매개자들에 의해 수분 되는 것들보다 약 절반의 씨앗을 생산한다는 것도 발견했다.

그들은 또한 꿀벌에 의해 수분 된 씨앗에서 자란 파셀리아 디스탄은 토착종에 의해 수분 된 것보다 더 적은 꽃을 피운다는 것을 확인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