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무기한 유예...중국 공장 운영 불확실성 해소
삼성·SK 中 공장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지정도

[연합뉴스TV 제공=연합뉴스]
[연합뉴스TV 제공=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 공장이 미국 정부의 별도 허가 절차나 기한 없이 미국산 반도체 장비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됐다.

9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 중국 현지 공장에 대한 미국산 반도체 장비 반입 규제를 사실상 무기한 유예한다고 우리 측에 최종 통보했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SK하이닉스도 우시 D램 공장, 충칭 후공정 공장, 다롄 낸드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작년 10월 중국을 겨냥해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하면서 ▲핀펫(FinFET) 기술 등을 사용한 로직칩(16nm 내지 14nm 이하) ▲18nm 이하 D램 ▲128단 이상 낸드플래시 등을 생산할 수 있는 장비·기술을 중국 기업에 판매할 경우 허가를 받도록 했다. 하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해서는 규제를 1년간 유예한 바 있다.

이번 조치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 공장 운영의 불확실성이 걷히면서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을 굳건히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의 이번 조치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최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반도체 공장을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로 지정하겠다는 뜻을 우리 측에 밝혔다.

VEU는 사전에 승인된 기업에만 지정된 품목에 대해 수출을 허용하는 일종의 포괄적 허가 방식이다. VEU에 포함되면 별도로 건별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다. 미국의 수출 통제 적용이 사실상 무기한 유예되는 의미가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가 이번에 별도 허가 없이 한국 기업에 장비 공급하도록 결정한 조치는 동맹국 미국의 한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신뢰의 방증"이라고 해석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삼성전자는 시안 공장에서 낸드 생산량의 40%를 생산하고 있다. SK하이닉스도 D램과 낸드 생산량의 40%와 20%를 우시와 다롄 공장에서 각각 생산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 공장 가동에 필요한 물품 일부를 미국에서 조달하는 등 미국 의존도가 상당한 만큼 이번 미국 정부의 조치가 낭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