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中 전기차 EU시장 점유율 3.4%에서 6.7%로 작년 대비 두배
한국은 12.7%에서 8.2%로 축소

중국 무역항에서 선적을 위해 대기 중인 전기차 [사진=AFP/연합뉴스]​
중국 무역항에서 선적을 위해 대기 중인 전기차 [사진=AFP/연합뉴스]​

【뉴스퀘스트=윤한홍 경제에디터 】 중국 전기차 판매량 급성장으로 유럽 전기차와 배터리 시장의 격변이 올 수도 있다. 이는 우리나라 기업들에게도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유럽국가들의 전력에너지 사정에 대해서 각국별로 살펴본 바 있다. 그런데 설상가상으로 최근 값싼 중국산 전기차들이 유럽시장 점유율을 급격히 늘리면서 유럽국가들의 딜레마를 더욱더 키우고 있다. 또한 작년까지 선전하던 우리나라 전기차들의 점유율은 급락하면서 중국산 전기차에 자리를 내주고 있어서 우리의 우려도 더해지고 있다.

필자는 EU시민들이 경기침체와 고물가로 인한 생활고 하에서도 관성처럼 유지되고 있는 전기차 대세론을 고수하면서 어쩔 수 없이 값싼 중국산 전기차를 선택하는 상황이 본격화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독일, 프랑스, 영국 같은 나라들의 산업황폐화를 유발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큰 위험요인이고, 결국 EU는 기존의 정책을 폐기 또는 대전환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우리나라 전기차 및 배터리 등 관련 산업의 성장성에도 큰 흠집을 낼 가능성이 크다.

EU 전기차시장 원산지별 점유율 변화 [자료=NOVEV]
EU 전기차시장 원산지별 점유율 변화 [자료=NOVEV]

위의 그래프에 나타난 것처럼 올해 상반기 기준 중국산 전기차의 EU시장 점유율은 3.4%에서 6.7%로 작년대비 두배로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올해 8월 기준 EU 전기차시장이 전년대비 118% 성장을 기록중이라는 사실과 연말에는 중국산 전기차 점유율이 8.4%까지 더욱 상승할 수 있다는 일부 예상까지 감안하면 중국산 전기차 판매대수 절대치는 전년대비 500% 이상 증가하는 놀라운 수치를 보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한국 전기차의 점유율은 12.7%에서 8.2%로 줄어들고 있다. 비슷한 논리로 추정해보면, EU시장에서 우리나라 전기차는 전년대비 올해 약 50% 정도 판매대수 자체는 늘어나지만 점유율은 절반 가까이로 하락할 수도 있어 보인다.

EU 역내 자동차기업들의 시장점유율도 중국 및 기타 저가제품에 밀리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EU는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ESG 및 온실가스 감축정책을 시행, 가장 빠른 전기차 전환을 이루고 있으나 궁극적인 수혜를 중국에 몰아줄 수도 있다는 불길한 조짐 때문인지 최근 중국산 전기차 보조금에 대한 불공정무역조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주요 전기차 및 배터리 관련 기업들인 에코프로비엠이나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이 제시하거나 애널리스트들이 추정하는 지난 분기 잠정실적에서도 이러한 경쟁환경 악화가 반영되는 조짐이 뚜렷해 보인다. 일부 낙관적인 견해에 따르면, 미국과 EU당국의 중국산 배터리와 전기차 견제정책으로 우리나라 해당 산업은 격리되고 보호될 것이라고 했으나 EU소비자들은 그에 부합하지 않는 시장구매행동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아직 미국시장에서는 중국산 배터리나 전기차가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미국 소비자들의 주머니 사정이 EU보다는 낫기 때문인 이유도 크다. 지난 기사들에서도 다루었지만, EU 소비자들은 실질소득이 크게 압박받고 있기 때문에 값이 싸다 해도 부정적이었던 중국차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쉽게 무너뜨리기 시작한 것으로 봐야 한다. 미국에서도 경기침체가 온다면 비슷한 일이 벌어질 수 있다. 70년대 석유위기 이후 일본차가 미국시장을 석권했던 것처럼 말이다.

EU 주요국가들의 고물가와 경기침체에 전력 및 에너지비용 상승이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사실은 앞에서도 충분히 다루었다. 특히 전기요금 상승이 소비자들을 가난하게 만들었고 그들이 값싼 중국산 전기차를 사야만 한다는 사실은 아이러니하다. 독일처럼 자동차산업의 GDP기여도가 높은 국가가 국가 전력믹스 정책에서 실패함으로써 자동차산업을 위기에 빠뜨렸고 국민들의 실업 및 소득감소를 유발, 다시 그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중국산 전기차 구매를 부추기는 악순환 고리가 현실화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독일내 중국산 전기차 판매증가율은 여타 EU국가들보다 현저히 높은 600% 이상이 될 수도 있어 보인다. 물론 시장진출 초기의 기저효과로 치부할 수도 있지만, 가난해진 소비자가 값싼 물건을 사야 하는 것은 대세라고 전망하는 것이 더 설득력 있지 않을까? 그런데 이런 악순환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데도 이를 대책 없이 놔둘 것이라고 보는 것도 독일국민이나 정부가 바보라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그간 전기차 산업에서 독일이 경쟁력이 약하다는 경고는 많았지만 독일 정치가들은 ESG에 편승한 표장사에만 몰두했다.

윤한홍 경제에디터
윤한홍 경제에디터

친환경 에너지 확대와 내연기관차 판매금지를 부르짖으며 이에 찬성하는 시민들을 선동, 각급 선거를 오도해 온 것이다.

좀 더 상황을 지켜보아야 하겠지만, 독일 국민들은 가중되는 경제적 고통을 실감하면서 이러한 무모한 상황진행을 더 이상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독일 자동차기업들에게 많은 배터리를 팔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들도 좋든 나쁘든 어떤 식으로든 예상과는 다른 결론에 직면할 수도 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