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등급 34곳, D등급 12곳 증가…부동산업, 가장 많이 포함
금감원 “높아진 금융 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 늘어나”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보다 46곳이 증가한 231곳을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보다 46곳이 증가한 231곳을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기업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부실징후기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231곳을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46곳이 증가한 수치다.

부실징후기업 중 C등급(경영 정상화 가능성 높음)은 전년보다 34곳이 늘면서 증가한 118곳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 D등급(경영 정상화 가능성 작음)의 경우 12곳이 증가하면서 118곳이 지목됐다.

같은 기간 규모별로는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이 9곳, 중소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미만)이 222곳으로 각각 7곳, 39곳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부동산업(22곳)에 해당하는 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도매·상품중개(19곳),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각 18곳) 등이 차지했다.

부실징후기업 수는 코로나19 기간 유동성 지원 조치 등으로 줄었지만, 지난해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작년에 이어 대내외 경기 부진 및 원가 상승 등으로 기업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올해 들어 금리 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 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다만,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2조 7000억원 수준으로 국내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됐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3500억원이었다. 

이에 따른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변화 폭 또한 ‘미미한 수준’(0.02%포인트 하락)이라는 게 금융감독원 측 설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융당국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과 부실 정리를 유도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은 “자구 계획 전제 아래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을 유도해 채권단 중심의 경영정상화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법적 구조조정 등을 통해 부실을 신속히 정리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또 영업력은 있으나, 금융 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대해서는 신속금융지원 또는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해 위기 극복을 지원할 계획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