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문가들이 예상한 한은 통화정책
"물가 상승, 가계부채 증가세 등으로 '동결' 전망"
"7월부터 완화, 연말까지 0.5∼1.0%p 낮아질 것"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해 11월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해 11월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동호 기자 】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행의 통화정책(기준금리 인하 등) 변화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태영건설 유동성 위기가 아직은 전체 금융시스템 위기로 번진 것은 아닌 만큼 '동결'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오는 11일 열릴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현재의 3.50%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빠르면 오는 7월부터 완화로 돌아서 연말까지 금리가 0.5∼1.0%p 낮아질 것으로 봤다.

한은이 조기에 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으로 보는 요인으로 3%대에 달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꺾이지 않은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꼽았다. 현재는 금리 인하로 대응할 단계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같은 분석은 연합뉴스가 경제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금통위가 오는 11일 열릴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리를 낮출 만큼 소비자물가가 안정세를 찾지 못하고 있고, 가계대출 잔액(지난해 말 5대 시중은행 기준) 규모가 700조원에 이르는 등 ‘불씨’가 여전하다는 점이 동결로 의견이 모아진 이유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2월까지 5개월 연속 3%대를 유지하고 있다. 누적된 비용 압력 등으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하락 속도가 예상보다 더딜 것이라고 한은도 경고한 바 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한은 금리 인하 결정 과정에서는 물가보다 오히려 가계부채가 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며 "우리나라 경제 규모(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유난히 높고, 이에 대한 한은의 문제의식이나 부담도 상당히 크기 때문에 금리 인하를 주저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불확실한 경제 성장으로 금리 인상은 불가능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플레이션 상황이 지속되고, 현재 미국의 통화정책 등을 고려하면 동결이 확실시 된다”고 말했다.

반도체 회복을 중심으로 수출이 올해 경기에 긍정적 역할을 하겠지만, 소비 부진이 이어지는 만큼 금리를 다시 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서울 여의도 태영건설 본사. [사진=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태영건설 본사. [사진=연합뉴스]

이들 전문가들은 한은이 태영건설 사태로 더 커진 부동산 PF 불안을 명분으로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도 없다고 봤다.

장 선임연구위원은 “태영건설 사태로 촉발된 부동산 PF 위기 때문에 통화정책이 변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진단하며, 부동산 PF 문제와 관련해 금리 인하보다는 유동성 공급 등을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한은의 금리 인하 시점을 하반기 이후, 이르면 7월로 예상했다. 미국의 통화정책 전환(피벗), 소비자물가 상승률 2%대 안착, 내수 부진 등을 확인한 뒤 금리를 낮출 것으로 봤다. 연말까지 금리 인하 예상 폭은 0.5%p부터 1.0%p까지 다양했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